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동물농장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
조지 오웰 지음, 도정일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조지 오웰이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를 비판하기 위해 쓴 글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왜 동물농장은 점점 더 사정이 안 좋아 진 것일까?

동물농장은 북한과 연관 지어 설명할 수 있다. 북한은 분단 초기에는 남한보다 훨씬 잘 살았다. 한반도 전기 공급을 좌지우지하는 공장이 다 북한에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70년대에서 80년대에 남한은 이른바 한강의 기적이라는 경제 성장을 이루어 냈지만 반대로 북한은 대기근이 찾아와 많은 사람들이 굶어죽게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회주의 국가들이 민주주의로 바뀌게 되면서 북한의 힘은 더 약화된다. 그래서 북한은 주변국을 위협하기 위해 간첩을 보내거나 포격을 한다. 그리고 핵무기를 개발하여 자신들이 강력하다고 인민들에게 세뇌교육을 하고, 반대자들을 죽인다.

동물농장도 마찬가지이다. 처음에 시작은 좋았지만 독재자 나폴레옹이 정권을 잡고 그의 경쟁자인 스노우볼을 내쫓고 다른 동물들에게 힘든 일을 시켜 그 수익은 자신이 챙겨간다. 그래서 나는 이 이유가 권력을 잡은 동물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사용하니 힘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풍차는 무엇을 의미할까?

동물농장에서 풍차가 파괴된 적이 있었다. 그때 동물들은 분노하고 슬퍼하며 다시 건설했다. 그리고 나중에 동물농장의 엄청난 상징 중 하나가 되었다. 이건 북한의 핵과 같다. 북한은 우리나라를 주로 위협하며 핵을 개발한 결과 지금 핵무기를 보유하게 되었다. 하지만 진작 북한 사람들에게 이익은 되지 않았다. 동물농장에서도 풍차를 만들고 나면 매우 좋은 세상이 온다고 믿었지만 완공 후에도 그 이익이 돼지들에게 갔기 때문에 동물들의 삶은 좋아지지 않았다. 그래서 풍차는 돼지들의 이익과 과시를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북한과 많이 비교해 보면서 읽었다. 그리고 이 책의 내용이 북한만이 아닌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과거이거나 현재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책의 내용처럼 힘들게 사는 사람들이 있다는 생각에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물농장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
조지 오웰 지음, 도정일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의 우리나라와 세계의 모습과 모순이 담겨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리대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15
윌리엄 골딩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199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파리대왕은 1954년 출간된 윌리엄 골딩의 대표작이다.


주요 줄거리는 핵전쟁 중 아이들의 탄 비행기가 무인도로 추락해 아이들만 남아 구조를 기다리는 내용이다.


나는 이 책을 읽고 '만약에 어른들만 있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은 힘이 약하고 겁도 많아서 착각도 종종 하게 되는데, 어른은 이보다 덜 할 것이다. 하지만 아이들이 점점 미쳐가는 것처럼 어른들도 정말 노력하지 않으면 똑같이 예전처럼 돌아간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아이들이 세계사의 시초로 돌아가는 것처럼 느껴졌다. 처음에는 문명인처럼 점잖게 행동하려고 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사람도 잔인하게 죽이는 야만인이 되어가고 있었다. 우리가 수천 년 동안 문명화를 위해 노력했지만 외부와 단절된 채로 있으면 시간이 갈수록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두 번째는 만약 마지막에 해군이 없었다면 어떻게 되었을지 궁금해졌다. 마지막에 랠프는 잭의 사냥패에게 쫓기고 있었으며 잡히면 죽음을 당할게 뻔했다. 그런데 이때 핵이 나타나지 않았더라면 랠프는 잭에게 잡히고 말았을 것이다. 그리고 쌍둥이 형제는 잭의 노예가 되어 점점 랠프를 잊어버리고 무인도는 잭의 세상이 된다. 그리고 점점 문명과 거리가 멀어져 갈 것이고 원시인처럼 살아갈 것이다. 이렇게 나는 예상하고 있다.


이 책은 사람들이 외부와 단절되어 있으면 일어나는 일과 모순을 나타내고 있다. 결국 시간이 지나면 외부에 대해서 잊어버리고 원시화 되어가는 것이다. 다시 문명화에 대한 것에 알아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리대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15
윌리엄 골딩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199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세계사를 아이들의 지도자 구성과 분열, 갈등으로 나타낸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꾸뻬 씨의 행복 여행
프랑수아 를로르 지음, 오유란 옮김, 베아트리체 리 그림 / 오래된미래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돈이나 권력을 갖고 있으면 행복할까?' 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돈이나 권력을 가지고 있으면 순간적으로는 행복해질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이 사고 싶은 것들을 사고, 권력으로 내가 할 수 있는 대로 하는 등 남들이 보이기에는 '호화롭고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정말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행복은 제대로 못 느낀다. 그냥 하고 싶은 대로 할 수 있는 생활을 누릴 뿐, 진짜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지는 않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행복을 방해하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사랑, 우정, 아름다움 등으로 행복함을 느끼기도 하지만 반대로 행복하지 못하게 하는 것들은 무엇이 있을까? 모든 사람은 행복하고 싶지만 실제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그에 비해 너무 적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들은 스트레스 또는 압박감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중학생부터는 시험에 대한 압박이 생기게 되고, 고등학교 3학년에는 대학 입시에 대한 압박과 스트레스, 청년이 되면 취업을 해야 하는 압박과 스트레스를 받는데, 이것들을 이겨내지 못하거나 실패를 할 경우 점점 우울해지고 무기력해진다. 이것이 계속되면 사람들은 불행하다고 느낀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배움6의 행복을 목표로 삼는 것은 잘못된 것에 동감이다. 행복을 목표로 삼으면 자신의 상태를 불행하다고 여기고, 사실은 행복한 삶을 살고 있을지라도, 계속 자신은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게 된다. 행복하지 않아도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면 행복해질 수도 있다. 그러면 다시 용기를 되찾아 다시 일어설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