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존감 심리학 - 있는 그대로 살아도 괜찮아
토니 험프리스 지음, 이한기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린 나 자신을 잃어버리면서 살아가고 있는게 아닌가 싶다.

책에서 있는 말 그대로 있는 그대로 살아도 괜찮다고 말하는

심리학자 토니 험프리스가 자기 치유를 말한 메세지라고 할수 있다는 이책에

호감이 가는 것은

나를 가장 사랑해야 한다는 것이 강조되는 것이다.

 

이 사회를 살다보니

내 마음을 표현하기가 왜 이렇게 어려운지를

남의 시선에서 자유롭게 살수 있는지를

그리고 내 깊은 상처를 털어놓을수 있는 그 상태가 된다면

사회에 어울리기 위한 요구에 맞쳐진 인물이 아닌 나 스스로

단단한 자존감을 가진 인물이 되지 않을까 한다.

 

자존감이란 단어가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우리 내면의 단단함을 제시하는 단어로 접근한다.

그러하다보니

고유한 나를 잃어버리고 많은 것을 잃더라도 남들에게 인정받는 삶을 추구했더니 정신적으로 너무나 힘든 삶을 살아가는 것이기에

 

나 자신을 사랑하고 나를 찾아야 할 그 자존감 회복을 위한 이야기를 다양한 접근의 설명으로 풀어가고 있다

누가 무엇이 자아를 만들고 있는 것인지를 생각하게 만든다

그림자를 만드는 것은 빛이라고 한다

인간은 긍적적인 것이든 위헙적인 것이든 자신에게 발생하는 일들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존재가 아니기에 참자아를 찾아서 사라잉란 도구로 그림자속에 자기를 가두는 행위를 하기도 한다고 한다.

그러한 나 또한 자아을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또다른 보호작용에 일반적인 접근이라고 할수 있다고 말하다.

자아는 보이지 않고 나 스스로가 정의하기에도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러한 참 자아를 차장서 내면을 돌아보고 전혀 볼수 없을때에는 스스로 할수 없기에 타인의 도움을 받는것도 좋은 도구이다.

 

있는 그대로 살아도 괜찮아 자존감 심리학

 

이책을 통해 내면의 자아를 보고

좀더 나 자신을 이해하는 과정이란 것이 들어가면 좀 더 이해가 잘 되는 것이 아닌지...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건강하게 지켜내기 위한 과정으로 느끼고

불행한 삶이 아닌 진정한 발전적인 삶으로 나아가기 위해 한번 돌이켜 보기 좋은 권거적인 구도를 제시하는 것이다.

 

심리상담과 사례를 통해 많은 인간의 행동을 감춰지기 전의 나를 내가 보고 느끼고 싶을때 도움이 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