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으로 산다는 것 - 조선의 리더십에서 국가경영의 답을 찾다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왕으로 산다는 것이란 책을 보는 순간

머리속에 계속해서 흘러나오는 노래가 있다.

산다는 것 !!다 그런 것 아니겠니....원하는데로 만 살수 없잖아.

하면서 흥얼거리게 만드는데....

 

왕이란 직업이 그리 좋지도 않은 직업군에 속하는 것이 아닌가...

내가 선택해서 준비하는 것도 아니고

태어나니 왕이란 직업으로 살아갈수 밖에 없어서

재능이 없어서 그리 할수 없는 사람에게 가혹하고, 하고 싶어도 할수 없는 그런 사람은 어찌 그리도 슬프게도 몸부림을 쳐서 자신의 조카를 죽여가면서

그자리를 탐할수 밖에 없고

그 자리를 보전하기위해 온갖 악수를 두면서도 일을 진행할수 밖에 없는 그들의 심정을

신병주 교수가 왕의 업적과 발자취를 찾아가면서

리더십이란 것에 대해 이야기 한다

 

워낙 저자가 눈높이에 맞게 술술 풀어가는 능력이 있으니

역사가 어렵지도 않고

우리가 현 시대에서 왕이 우리에게 무언가를 하기 위해 노력을 했고

우리가 그러한 왕을 보면서 리더십이 뭔지를 생각하게 만드는 주제적 스토리를 제시한다.

 

우리가 좋아하는 임금이 있다면

끝까지 왕으로로 존대를 하고 싶지 않은 왕이 있고

또한 재평가를 해야 할 군이 있듯이

역사라 함을 그냥 암기가 아닌 우리가 어떻게 인식을 하고 평가를 해야 하는지를 제시하는 책이라고 할수 있다.

 

그래서 주제별에 따르는 왕들의 업적과 행보를 보게 하고 있다

나라를 세운 왕이 있다면

당쟁과 갈등으로 힘든 왕이 있었고

전쟁으로 인한 것으로 갈등과 그로 인해서 국제적 갈등으로 희생을 강요당하고...

부흥의 시대와 개항의 시대 그리고 수많은 시련속에서 극복하고자 했던 그들의 행보가

사진과 함께 이야기 하듯 풀어내고 있음에 가속력이 좋게 읽어낼수 잇다

성군으로써 기억이 되고 싶었던 숙명적인 직업군의 이야기

그리고 아버지와 아들이 라이벌이 될수 밖에 없는 위치저인 갈등 그리고 이 역사를 봄으로써 참된 거울처럼 익식하고 발전적인 인식을 발동걸게 만든다.

 

어렵다고 역사를 인식할 필요는 없다

다만

왕들의 리더십을 통해 우리가 역사를 다시 만들어 가고 있음을 알게 해주는 원동력이 되지 않을까 한다.

 

역사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실수 하지 않게 본보기적인 역활을 하지만

그 길을 다시금 걷는 일이 종종발생이 된다

그래서 우리는 조선의 27대의 왕들의 산다는 것에 대해 한번쯤 고뇌해봐야 하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