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괜찮은 죽음 - 어떻게 받아들이고 준비할 것인가
헨리 마시 지음, 김미선 옮김 / 더퀘스트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참으로 사람의 입으로 통해 죽음을 이야기 한다는 것이 쉽지는 않다.그것을 자주 노출하는 부분들을 접하는 사람이 아닌 이상은 부모님의 죽음 혹은 가족의 죽음으로 많은 충격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이 예정된 이야기를 시나리오처럼 짜고 설명을 해버리면 좋겠지만

저자처럼 의사인 경우에는 죽음이라는 것이 삶처럼 느껴지는 환자가 죽음의 문턱에서 벗어난 사람이 있다면

죽음의 문턱을 벗어나지 못하고 가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섬세한 문필로 그 이야기를 풀어낸 책이다.

 

나도 부모의 이야기가 이책에서도 볼수 있었고

나의 친구의 경험같은 이야기를 볼수 있으나

어찌 보면 이 헨리 마시는 냉정하게 죽음을 대하면서 접하는 그 이야기가 앞으로의 죽음을 준비하도록 마음을 흔들어 놓았다고 할수 있다.

 

의사는 늘 수술방에서 어떠한 일들이 일어날지 모른다,.

하지만 좋은 결과에서는 미소를 나쁜 결과를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의사는 언제가도 환자가 되고 만다는 것이 그대로 보여진다.

 

그래서 감정이입이 더 될수 도 있다.

임산부가 순간 시력이 보이지 않아서 급작스러운 수술을 해야 하지만

배속의 아이때문에 주저 할수 없는 조건인지라 의사인 그도 많은 긴장감과 좋은 결과를 기댈했다.

그래서 신경외과 수술방에서 아이의 울음을 듣고도 다음 수술을 위해 준비하는 냉정함이 그를 만들었을지 모른다.

약간의 가능성이 있어서 수술을 했더라도 좋은 결과가 있으면 좋지만

결과의 절망으로 인해 가족들에게 좋은 소리를 듣지 못하더라도 그는 최선을 다해 집도를 할수 밖에 없는 그를 좀 더 객관적으로 볼수 있는 글이었다.

 

우리가 많은 죽음을 직면하기는 힘들다

그도 인간이게 좀 더 객관적으로 죽음을 이야기하는 것이 많은 타인들에게 느껴지는 과정을 그대로 성찰적인 에세이라서 읽으면 읽을수록 맘의 준비를 하고 있게 된다.

 

마지막 순간을 위해 냉철한 판단으로 의사의 손길로 어찌 보면 우리는 마무리 하는 삶을 살아간다.

환자가 되어가는 순간도 본인도 두려워 할수있고 병또힌 의사와 환자를 구분해서 다가오지 않았던 그 사실을 본인도 겪으면서  그 이야기를 진솔하게 내려가면서 괜찮은 죽음을 준비하는 그가 아닌가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첫장에서 말하는 모든 외과의사의 마음 한구석엔 공동묘지가 있다는 말이 더 와닿는다.

신경외과인으로써 많은 이야기를 최선으로 풀어낸 참 괜찮은 죽음 을 통해 우리가 공감을 할수 있는 고백을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