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량한 차별주의자
김지혜 지음 / 창비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구절절이 맞는 말들이라며 고개 끄덕이며 읽게 되는 책을 만나게 되어 겁나게 행복하다.

법과 사회학을 공부하고, 저널리스트로 여러 배경을 가진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그래도 내 이해의 반경을 넓혀왔다고 생각했는데도... 그리고 말과 글로 생각을 표현하는 것으로 밥 벌어 먹고 사는 사람이라 스스로 소개하는 주제에... 종종 말문이 턱 막힐 때가 있다.

누군가가 별로 재밌지도 않은 (아무리 봐도 누군가가 상처받을 만한) ˝농담˝을 하면서 낄낄거릴 때,
내 리걸 마인드가 분명히 저건 뭔가 잘못 됐다고 양심에 속삭이는 데도 ˝너 과민 반응 하는 거 아니야?˝ 라는 말을 듣는 게 겁날 때,
그리고 ˝성별, 종교, 국적, 학력, 외모 등등을 이유로 사람을 차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누누이 배워놓고도 정작 내 스스로 생각없이 부끄러운 짓을 저질렀을 때,

발언해야 하고, 왜 특정 상황에서 특정 행동이 인간으로 옳은지 설명해야 할 때.......
결국 모자란 통찰과 말솜씨를 한탄하면서 입을 다무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 책 속에 내가 그 때 했었어야 했던 말이 모두 들어있다.

이 책은 영어로 localizing 해서 미국에서 출판해도 좋을텐데 싶다. 아니, 평등을 추구하는 어느 사회에서든 출판되면 좋을텐데.

스스로 ‘공정하다‘고 착각하고 있는 사람의 틀을 깨 준다는 점에서 얼마 전에 읽은 ‘팩트풀니스‘를 연상시킨다.

읽으면서 내내 ‘아, 내가 이 책을 좀 더 일찍 읽었더라면 좋았을텐데‘ 골백번을 생각했다.

그랬으면 내 인생에서 부끄러운 일 탑 3 안에서 한 일화 정도는 없어지지 않았을까.

미국 저널리즘 대학원 첫 학기 때의 일이다.

미국에는 ALL GENDER RESTROOM이 많다. 말 그대로 모든 성을 가진 사람들이 쓸 수 있는 화장실이다. 사람의 성을 남/여 이분법으로 쉽게 쉽게 나눌 수 없다는 성찰이 만든 공간이다.

사회학과 법학에서 젠더연구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머리로는 알고 있었다. 그러나 지식은 행동으로 옮길 수 없으면 죽은 것이 된다.

아무 생각 없이 화장실에 들어갔다. ALL GENDER INCLUSIVE 라고 적혀있음에도 문 앞에 파란 남자 빨간 여자 그림이 여전히 붙어있었고, 나는 망설임 없이 빨간 그림이 붙은 문을 열었다.

문을 열고 들어서자 마자 가죽재킷을 입고 듬직한 체격에 목젖이 나온 장발의 사람이 날 바라봤다. 같은 학년 학생이었다. 수업도 한 두 개 같이 들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런데 정말 반사적으로 나는 내가 밀고 들어온 문 밖으로 뒷걸음질로 걸어나가 그 놈의 ˝빨간 여자 그림˝을 확인했다. 확인 후 ‘아차!‘ 했다.
그 친구가 화장실 안에서 소리 쳤다. ˝너 제대로 들어온 거 맞아!˝

그 순간에 내 얼굴이 얼마나 뜨거웠는지 글을 쓰는 지금도 기억한다.

성적 지향과 성별 정체성, 연애 지향 등 백날 배우면 뭐 하나. 성소수자 보호에 대해 교실에서 백날 토론한 건 대체 뭐 였을까.
나는 머리로 ‘알고만‘ 있고 한 번도 ‘이해한‘ 적이 없었던 것이다.

그 날 오후, 학교 총장이 전체 학생에게 이메일을 돌렸다. ˝ALL GENDER INCLUSIVE 라는 말은 모든 사람들을 존중한다는 의미입니다. 어떤 외모, 어떤 성별 정체성, 어떤 성적 지향을 지녔든 그 사람은 존중 받으며 우리 학교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 내 이름이 특정되지는 않았지만, 받은 나 자신은 알 수 있었다. 내 교만과 몰이해가 낳은 결과였다.

기회를 노리다, 얼마 후, 그 친구에게 직접 사과를 했다. 사과 후에, 짧은 말을 덧붙였다. ˝정말로 미안해. 내가 이제까지 머리로만 알고 있고 정작 살면서 내 컴포트 존 (comfort zone)에서 나온 적이 별로 없는 우물 안 개구리라, 나와 다른 성적 정체성을 가진 사람에게 보여야 할 예의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 했어. 이제부터 열심히 배우겠다고 약속할게.˝

그러자 그 친구가 물었다. ˝한국은 성소수자가 없니?˝ 내가 대답했다. ˝분명 있는데, 내 주변에서 만나보지 못 했어.˝
그리고 그 친구가 ˝왜? 왜 그런 지 생각해봤어?˝ 되물었을 때, 나는 대답을 찾을 수 없었다. 아는 게 없었기 때문이고, 말 그대로 그만큼 내가 주의를 기울여 알려고 하지 않았었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스스로는 아니라고 생각하는 ‘선량한 차별주의자‘의 전형이다.

지금도 나는 자라려고 발악하고 있다. 머리 속 지식으로 알고만 있는 게 아니라 행동으로 사람을 존중하는 사람으로 자라고 싶다. 스물이든 서른이든 불혹이든 나이를 먹으면서 그저 지식의 지평만 넓히는 게 아니라, 실제로 배운 걸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사람이고 싶다. 그리고 되도록 많은 사람이 그렇게 나 또한 존중해주길 바란다.
내 자식의 자식 대가 되면, 완벽하진 못 하더라도 그런 사람들의 숫자가 더 늘어나 있을 거라 믿는다.

아마 이 책은 몇 번이고 다시 읽을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21-12-19 16:5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말씀들어보니 읽어보고 싶은 책입니다.
구별은 차별과 엄연히 다르다고 생각했는데
구별과 차별 이분법조차 분명하게 차별일 수 있다는 책인 것 같습니다. ^^

MJ9 2021-12-19 22:15   좋아요 1 | URL
이 책에서 ˝누가 구별과 차별을 정하는가, 누가 구별의 기준을 정하는가˝ 도 권력이라는 말 있더라고요. 저도 북다이제스터님 말씀처럼 ‘다르다‘고 생각하고 넘기던 부분이었는데, 이 책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게 해줬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