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베르니 모네의 정원 - 수채화로 그린 모네가 사랑한 꽃과 나무
박미나(미나뜨) 지음 / 시원북스 / 2023년 4월
평점 :

수채화를 그리는 저자는 프랑스 북서부 노르망디의 한적한 정취를 담고 있는 작은 마을에 설레는 마음으로 지베르니 모네의 정원을 찾는다. 인상주의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화가이자 감각적인 정원사였던 모네는 43년간 거주하며 수련 연작을 비롯한 많은 대표작을 완성했다. 마지막까지 영감을 받았던 모네의 집, 혼신의 힘으로 가꾸었던 연못과 정원을 보기 위해 찾았다.
이 책에는 지베르니 모네의 정원 꽃과 나무 80종 수채화 일러스트와 모네의 인생과 예술에 대한 80개 명언 한글·영문이 수록되어 있다.
모네가 속한 인상주의 화가들은 시시각각 변하는 빛을 따라 그리는 빛의 색을 그려내기 위해 집중했던 화가들이다. 모네가 색에 대한 집착으로 만들고 열정으로 가꾸었던 그의 정원은 그 자체로 예술작품이었다. 모네는 자신의 정원을 일 년 내내 시들지 않는 아름다움으로 채우기 위해 꽃마다 피고 지는 시기를 철저히 계산해 생기가 가득하도록 정원을 꾸몄다고 한다.
저자는 꽃의 아름다움을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한계를 그것과 가장 가까운 색의 물감으로 만들어내는 능력이 자신에게 있음을 감사해하며 그림을 그려왔다. 모네의 가르침은 저자의 그림에 소중한 신념이 되어주었다고 한다.
찬란한 빛으로 가득 찬 한 폭의 그림 같은 지베르니 정원의 순간을 오래 기억하고 싶고 더 많은 사람에게 전하고 싶다는 생각에 이 책을 기획하게 된다.
모네의 성격, 내면, 인생을 바라보는 시선 등
당신이 진짜 모네를 알고 싶다면
지베르니에 있는 모네를 봐야만 한다.
그가 일생을 쏟아부어 만들고 완성한
그의 집과 정원은 또 하나의 명작이다.
36p

봄의 정원에는 진달래, 히아신스, 물망초, 수선화, 제라늄, 아이리스, 작약 등이 있었다. 모네의 정원에서 옮겨놓은 봄꽃들은 봄의 햇살을 한껏 받고 있었다. 요즘 같은 봄에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꽃도 있었고 낯설지만 아름다운 새로운 꽃들도 종이 위에 피어있었다.
자연의 아름다움은 세상 누구도 그려내지 못하는 작품이다. 모네는 그것에 닫기 위해 그림을 그려낸듯하다. 여름의 모네의 정원에는 눈부신 여름의 햇살을 받아 반짝이는 생기 넘치는 꽃들이 가득했다. 캄파눌라, 헬리오트로프 등 이국의 보석같은 꽃들이 많았다. 모네는 햇빛과 분투하며 그의 정원을 마치 금과 보석으로 그려야 할 것 같다고 했다.
모네가 많은 연작으로 그린 수련, 그 수련을 이해하기 위해 작가도 오래 걸렸으리라. 모네가 수련을 심었던 것은 그림을 그리기 위한 것이 아닌 기르는 재미때문이었다.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속에서 조용하게 사는 것을 소망했던 모네, 하루라도 꽃이 없으면 안 된다는 모네처럼 저자도 그의 꽃을 쫒아 자연에 대한 사랑을 담아 수채화로 옮겨놓았다.

법은 관찰과 성찰의 힘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끊임없이 파고들며 탐구해야 한다.
106p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수국, 여름에 수국만큼 사랑스러운 꽃이 있을까, 잎마다 연하고 짙은 부분의 빛깔을 수채화로 표현해 놓은 것이 사진으로는 따라잡을 수 없는 자연의 수국과 닮아있다.
모네의 화실은 정원이었다. 불행하다고 느꼈던 젊은 시절에 정원 가꾸는 일을 배웠고 꽃 덕분에 화가가 되었다고 한다. 가을 하면 국화가 떠오른다. 수채화로 그린 청초한 프랑스국화와 붉은 베고니아에서 꽃잎의 두께까지 전해져 오며 향기가 전해져 오는듯하다.
사과나무, 야생능금나무, 목련, 은행나무 등 잎에 물드는 색의 표현까지 자연의 아름다움을 이토록 생생하게 담아낼 수 있다니 저자의 그림을 보며 앉아서 자연을 감상할 수 있다는 것이 감사하다. 얼마 전에 사진 찍었던 등나무, 그 등나무가 책 속에서 향기를 내며 흔들리고 있었다.
고운 꽃이 내게 와서 피었다. 빛에 따라 꽃의 색이 달라지듯이 우리가 내는 빛에 따라 인생은 달라진다. 같이 인상주의를 했던 작가들이 인상주의의 한계를 이야기하며 돌아설 때도 모네는 빛의 색을 따라 자연을 그리는 것을 멈추지 않았고 몸이 쇠약해져도 붓을 놓지 않았다. 모네가 자연에서 얻은 충만함은 작품의 영감이 되었다.
모네가 연못 정원에서 바라보던 명장의 붓으로 그려낸 정수를 찾아가기 위해 인내심이 필요했으리라. 저자도 모네의 인생과 그의 그림과 정원의 꽃을 보며 영감을 받고 붓으로 옮겨놓기 위해 많은 시선과 인내심이 필요했으리라. 모네와 박미나 저자의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느껴진다. 계절을 따라 변화하는 꽃들의 빛과 색채를 포착하여 그려내는 모네의 그림처럼 수채화로 그린 저자의 꽃과 나무들은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모네의 그림을 좋아하는 분
√ 꽃과 자연을 사랑하시는 분
√ 모네의 문장과 수채화 꽃과 나무로 힐링하고 싶은 분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