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법상의 슬기로운 생활수행
법상 지음 / 열림원 / 2024년 10월
평점 :

토끼가 사자가 되려는 순간, 땅에 박힌 나무가 걷고 싶은 순간, 집착하고 고집하면 지옥을 만든다.
나무가 나무대로 푸르른 것처럼 우리 모두 반짝반짝 빛나는 아름다운 사람이다.
저 먼 하늘 위가 아닌 여기 지금, 내 안에 있는 아름다움을 발견하라고 말하며 바로 보고 자유로워질 수 있는 길을 알려주고 있다.
괴로움은 생각으로부터 온다. 마음이 만들어낸 환상이 분별심이다. 상像을 짓지 않는 것을 무위법無爲法이라고 한다.
사로잡히고 집착하고 마음이 만들어낸 환상에 허우적대는 것이 중생의 일생이다. 하지만 우리는 자유로워질 수 있다.
강 위에 떠가는 통나무처럼 흐름에 맡기고 흘러가야 한다. 최선을 다하되 집착하지 않고 열정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진짜 힘이다.
집착과 분별의 힘으로 부러질 듯 휘청이며 사는 삶을 알아차리고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지혜의 실천을 배우게 된다.
미립자 차원에서 봤을 때 조금 전에 있는 나는 완전히 사라지고 없고, 새로운 그다음 미립자로 이루어진 내가 여기 있는 것이다.
'무아'無我 나라는 고정된 실체가 없음을 알고 시절 인연을 따라야 한다. 바깥이 아닌 자신에게 의지해서 나 자신을 깨달아야 한다.

여덟 가지 팔정도는 불교의 대표 생활수행이다. 괴로움이 없는 것이 해탈이고 열반이다. 하지만 나는 부처가 아니니 힘들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괴로움을 그대로 바라보고 괴로움은 실체가 없음을 알고 분별심을 줄여나가면 괴로움을 조금씩 내려놓을 수 있게 된다.
바로보기 위해서는 집착을 내려놓아야 한다.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것에 연기적인 자각이 있다면 인과적인 지혜를 얻게 된다.
마음의 주인이 되어 긍정적이고 밝은 생각을 가지면 의식이 같은 파장을 끌어당긴다.
분별심의 색안경을 끼면 세상이 부정적으로 보이고 부정적인 파장이 일어난다.
일하고 노력하고 알아차리고 집중하는 것은 자각하고 바른길로 나아가게 한다.
일체유심조 이 세상 모든 것은 마음에서 나온다. 마음의 업장을 내려놓고 내 안의 본질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삶의 지혜를 실천하는 길이다.

외로움과 괴로움이 일어나지 않을 수는 없지만 남들이 잘난 걸 부러워하며 질투하면서 괴롭게 살 것이 아니라 분별하는 나를 죽이고 내가 할 수 있는 만큼만 하고 놔버리는 쉽고 가벼운 삶을 살라고 한다.
발보리심 가슴이 시키는 걸 하되 남들에게 피해 주지 않는 선에서 내가 하고 싶은 것을 마음껏 누리며 삶을 만끽하고 행복하게 살아도 좋다.
최선을 다해도 인연이 닿지 않으면 안 된다.
화분을 가꾸듯 내 인생도 물을 주고 잘 가꿔서야 한다. 하지만 잘 자라지 않는다고 괴로워하고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비료를 주고 잘 가꾸어서 열매를 맺으면 좋은 것이고 열매를 맺지 못하면 다시 심으며 시절인연을 기다려야 한다.
'돼도 좋고 안 돼도 좋아, 돼도 좋아 안 돼도 괜찮아!'차별화된 생각이 괴로움 없이 앞으로 나아가게 한다. 비교와 분별을 내려놓고 내 세계를 지옥으로 만들지, 드넓은 바다로 나아가게 할지는 오직 나에게 달린 것이다.
법정스님의 설법은 쉽고 자상하면서도 강력하게 전해온다. 전도몽상에 빠져 허우적대는 우리들에게 발목 깊이의 내가 서있는 곳을 바라보게 한다.
자신을 괴로움에서 건져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깨달음의 공부를 알려주고 있다.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나를 구하는 깨달음을 얻고 싶은 분
▶ 괴로움을 벗어나는 지혜를 알고 싶은 분
▶ 분별심에서 벗어나는 수행법을 알고 싶은 분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