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의 역사 - 선에 대한 끝없는 투쟁
폴 카루스 지음, 이지현 옮김 / 더불어책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 과거의 사고를 현재의 사고에 맞추는 것은 고통이다. 행복을 방해받지 않는 상태라면 성찰하고, 의문을 제기하며, 많은 것을 발명할 수 있다. 무덤으로부터 거리를 두려는 엶아을 좌절시킬 수 있는 것은 '죽음'이다. 그러나 죽음이 없다면 종교도 없다. 미덕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바뢰 '죄악'이다. 그러나 타락이 없다면, 정도를 추구할 일도 없으며, 따라서 선함에 따르는 보상도 없고, 비판과 칭찬도 아무런 의미가 없어진다. 또한 결핍, 불완전함, 여타의 악덕이 없다면, 마찬가지로 이상도, 진보도, 더 높은 곳을 향한 발전도 존재할 수 없다.    p.481 

- 창세기 2장에 따르면, 사탄은 과학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브를 설득하여 그녀로 하여금 선악과를 아담에게 처음 맛보도록 했기 때문이다. 그노시스의 한 분파였던 오파이트교도들은 바로 그런 이유로 뱀을 숭배했다.                  p.520 

우연히 도서관을 둘러보다가 다른 책들에 비해 유난히 낡은 책이 보였다. 제목은 악마의 역사, 

재밌게 봤던 미드 슈퍼내츄럴이 생각나기도 하고 해서 읽어 보았다. 

흥미롭게 읽어 내려갔다. 근데,,,어째 책은 재미있지만 제목이랑은 좀 안 맞는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여튼 재미있었다.  

다른 많은 종교들이 지금은 전설이나 신화로만 내려오거나 아니면 사라지는 것에 반해, 기독교 

는 어떻게 이렇게 오랫동안 그 명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다른 종교들보다 독보적인 위치를 차 

지하고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 어렴풋하게 답을 주고, 이집트, 인도, 유럽 등의 신과 악마에 

대한 역사적인 내용들을 두루 볼 수 있었던 책이다.  

 

" 두 사람이 같은 일을 하더라도, 그것은 결코 같을 수 없다" 

파라오의 제사장과 모세가 했던 요술은 모두 뱀마술사들이 행하던 것과 같다. 그러나 모세만 

기적으로 간주된다. 자신의 종교에서는 기적인 것이, 다른 종교에서는 단순히 마술이나 요술로 

치부된다. 기적은 자신의 종교에서 행해지는 초자연적인 힘이며, 신의 도움이고 정당한 반자연 

이지만 마술은 이교도의 기적이며 사탄의 도움이고 똑같이 반자연이지만 부조리하다. 

중세의 기독교가 마술의 종교였다는 것을 고려할 때, 마녀처형은 교황의 지배권을 위해 필수적 

이라고 할 수 있다. 카톨릭 국가에서의 도미니크 수되회로 구성된 종교재판관들이 중심이 되어 

마녀 사냥이 시작되었다. 16-17세기에는 전반적으로 마녀재판이 사라지고 과학과 이성이 점차 

자신의 목소리를 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