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라부라는 의사가 만나는 6명의 사람. 각자로 6편 정도 단편으로 이루어 져 있다. 

그 중 가장 기억에 남는건 책의 제목이였던 공중그네. 

처음에는 괴짜같은 이라부에 대해 전혀 신뢰하지 않지만 어느새 자신들도 모르게 이라부에게  

동화되어 가고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라부를 찾아 가는 환자들은 모두 억압받고 있다. 어떤 강박증에, 자신들이 당연하다고 

생각했고 또 가장 잘 할 수 있다고 여겼던 재능, 직업 등에서 한 순간 슬럼플에 빠지고 

거기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애쓰지만 그러면 그럴수록 오히려 더 깊이 빠져든다.  

누구나 한번 쯤은 겪는 것이다. 자신이 가장 잘 하는 것인데 그것마저 못하면 

어쩌나 하는 생각. 

또한 그들 모두 현대의 비대해진 사회 속에서 고독함을 느낀다. 

그래서인지, 허물없이 천진난만하고 순진무구한 이라부에게 조금씩 조금씩  

스며들게 된다. 

'공중그네'에서의 외부인에 대한 은연중의 배척감. 새로운 사람에 대한 자신도 모르는 

경계, 자기는 아니라고 자신을 속이지만 결국 그로 인해 슬럼프에 빠지고, 

이라부는 그것을 정확히 알고 스스로 벗어나올 수 있도록 자신만의 

괴짜스러운 방법으로 도와준다. 

'3루수'에서의 신인 선수에 대한 열등감. '장인의 가발'에서 어느샌가 자신은  

예의바른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장난끼 가득한 옛날의 성격을 버린, 계속해서 예의바른 사람이라 

고 주입시키면서, 몸과 마음이 따로 가는 사람.  

모두 우리들도 가지고 있는 모습이 아닐까. 

이라부에게 오는 사람들은 상황을 심각하고 복잡하게 받아들인다. 그러나 이라부는 

아주 단순하게 다가가고 정곡을 찌른다. 그리고 거기엔 해결의 실마리가 있다. 

더 좋은건 의사가 직접 고쳐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천천히, 조금씩, 환자들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깨닫고 스스로 해결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