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스티스맨 - 2017년 제13회 세계문학상 대상 수상작
도선우 지음 / 나무옆의자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 13회 세계문학상대상

도선우 장편소설

저스티스맨

나무옆의자

 

현실을 비판하며 끊임없는 연쇄살인범을 통해

 정보산업의 최첨단 강국이라 자부하는 

이 나라의 국민의 다양한 면모를

스릴감과 강렬함 소름돋는 섬뜩함으로 표현해낸 저스티스맨

자신의 소설을 끊임없이 공모하며

그렇게 2016 문학동네소설상에 이어 제13회 세계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도선우 작가의 장편소설 저스티스맨은

그의 소설에 대한 열망과 노력을 가감없이 담아내며

현실사회를 강렬히 비판해내며

 어설픈 정의감과 비열함을 가장한 현사회의 인터넷 공간을 

소름돋게 그려내고 있었는데요 

페이지를 넘길때마다 둔치로 머리를 얻어맞는 기분이 들었어요 

아~~~또.....잠깐의 실수로 번진

 마녀사냥의 시작점 (실제 다양한 기사를 통해 일반인이 넷상에서 

이름과 얼굴없는 이들의 무차별적인 공격에

마녀사냥되고 있는 현실을 어쩜 이렇게 

현실적으로 반영했는지 그래서 실제 느끼고 있는 무서움과

 공포심을 글로 적절히 표현해내고 있었는데요)

그리고 경찰이 풀어내지 못한 사건추리를

저스티스맨이란 네임으로 넷상에서 

추리해내며 연쇄살인마를 쫒아가는 스릴감

정의감으로 포장된 저스티스맨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연쇄살인범의 처참함 그리고 

시간이 지나며 점점 여론이

연쇄살인범과 저스티스맨을 동일시하며

우상화되어가는 과정들이 

파노라마처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컴퓨터앞에 앉아

키보드자판을 두드리며 

무심결에 적어내려가던 댓글의 모습이 섬광처럼 스쳐지나가더군요 

 

저자의 통찰력과 추리력이 돋보이던 작품이였어요 

소설속에서만 등장할꺼같은 이야기들이 실제 현실 사회에서 

보이지않는 누군가에 의해 자행되고 범죄화되고 있다란걸 기사로 실제 

추종하던 카페에 불미스런 사건들을 목격했던 탓인지 ㅠ.ㅠ 

동일한 방법으로 일곱건의 살인사건이 발생되는데요 

이마가 두개의 탄흔흔적 ....

이것만으로 단지 연쇄살인범일 가능성만이 점쳐지는 수사과정 

지지부진한 수사과정에 한 인터넷카페에

저스티스맨이란 닉네임을 가진 자가 

사건의 추리과정을 너무나 상세히 풀어낸

게시글을 공유하기 시작하는데요 

너무나 잘짜여진 소설처럼 연쇄살인범의 살해동기까지 추리해내는 과정 

그렇게 점차 저스티스맨을 추종하는 세력이 결집되며

다른 방식의 살인범과 

예상치못한 살인의 희생자가 발생되는 순간....

과연 연쇄살인범은 누구이며

우리가 알고 있는 정의의 의미는 과연 무엇일까요??


연쇄살인범이 누군지를 밝혀내는

추리과정에서 왜 씁쓸함과 공포심이 생기는지 

묘한 긴장감과 속도감에 손에서 놓지 못하고

단숨에 읽어내려가게 되더라구요 

새벽녘 어스름한 시각에 몰입한 탓에

묘하게 소름돋는 느낌이 더 강했던거 같기도 해요


우리는 스마트한 세상에 살고 있죠

이제 제 4차 산업혁명의 도래를 맞딱뜨리고 있는 현시점 

그러나 과연 인터넷공간안에서

무심코 적어내려가는 자신의 댓글이 주는 파장에 대해 

진중하게 고민해보고 생각해본적이 있을까란 물음을 던져보게 됩니다 

쉽게 범죄에 노출되고 늘 착실히 살아왔던 누군가가 한순간의 실수로 

스마트폰의 영상에 잡혀 예기치못한 범죄자 범법자가 되어

알지못하는 다수의 글에 무차별 공격을 

당하는 현실은 과연???

저스티스맨이 추리하는 과정에서 밝혀내려는 연쇄살인자가 

다수의 우리를 이야기하고 있는건 아닐까요?


세력은 어느샌가 킬러를 혐오하고

저주하고 질타하는 무리 쪽으로 옮아가 있었다

그들은 불안했다 이제 자신이 속한 무리는 더는 주류가 아니었다

약자의 무리에 속한 포유류 고유의 불안을 그들은 감지했다

너른 초원위에 홀로 동떨어진 것같은 느낌이 들었고

단 한방에 목을 물어뜯어 

숨통을 끊어놓을 수 있는 송곳니를 가진 맹수가

풀숲 어디선가 안광을 번뜩이며

자신을 노려보고 있을것만 같았다 

어서 빨리 더 큰 세력을 가진 무리속으로 희석되고 싶은 갈망이 

마음속에서 조급하게 샘솟기 시작했다

(본문 209 page中에서)

 

정보산업의 최첨단 강국이었던 이 나라에는

이제 국민이 존재하지 않는다

사라진 국민의 자리엔 누리꾼만이 가득하다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국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누리꾼의 누리꾼에 의한 

누리꾼을 위한 광(狂)케이블만이 존재할 따름이다

(본문 218page中에서)

 

오랫만에 흡입력과 속도감 있는 

전개의 스릴러 소설한편을 만난거 같아요 

현실에서 발생되어지는 자행되는 이야기들을 소설로 접하니

 더 섬뜻한 기분은 뭘까요?

우리가 무심코 적어내려가는 댓글들이

 보이지 않는 닉네임만 존재하는 공간안에서 자신의 본모습을 

감추고 서로 어설픈 정의를 부르짖으며 

누군가를 범죄자로 몰고 가는건 아닌지....

진짜 진실은 가려진채

 다수의 의견이 진실인듯 누군가의 희생을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이며 

정의를 외치고 있는건 아닌지....

저자는 실제 범인의 실체는

 독자들의 또다른 상상에 맡긴듯 합니다 어쩌면 다수의 누군가가

연쇄살인범이 될 수 있는 암시를 주는건 아닌지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