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존감 심리학 - 있는 그대로 살아도 괜찮아
토니 험프리스 지음, 이한기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있는 그래도 살아도 괜찮아

자존감 심리학

토니 험프리스 지음

이한기 옮김

다산초당

 세계적인 임상 심리학자 토니 험프리스 박사는 수십 년간의 임상 경험과

 연구 결과를 집약한 [자존감 심리학]을 통해

자존감의 견고한 토대를 다지는 세 가지 단계를 조언한다.

먼저는 자존감의 뿌리를 찾는 것,

즉 '자기 이야기(self-narrative)'를 통해 삶을 돌아보고

성찰함으로써 자존감의 근원이 되는 '있는 그대로의 나'에 다가가는 것이다.

다음은 가면이나 이름표로 명명되는 나의 모습을 이해하고

, 마음의 동굴에 숨겨두었던 진정한 나를 온전히 받아들이고 사랑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회복한 자존감을 지키고

 더 단단하게 성장할 수 있는 힘을 키우는 일상의 자존감 훈련이다

(출판사 소개글 중 발췌)

 

 

 나를 알아가는것 ....

어릴적부터 나는 큰딸이랑 중압감에

늘 뭐든 얌전히 잘해야한다란 강박증이 있었어요

늘 동생들보다 먼저양보하고 배려하고

그러다보니 내것을 가지는것은

욕심이고 허영이고 왠지 나눠주고 베풀어야할꺼같은

그러다보니 전 늘 착한 이미지 순한 성격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되며

그렇게 나를 꽁꽁 숨겨왔던거 같아요

그렇게 늦으막이 성장통을 겪으며 나는 누구일까??

내가 행복해야 내 옆에 사람도 행복할 수 있는데 ...

 

어쩌면 결혼을 하고 아이를 키우면서 그런 열망이 더 많아진거 같아요

나와는 다르게 다른 모습으로 커가는 아이들 모습에

난 너무 많은것을 나란 존재감 자존감을 잊고 살아왔다구요

아마 많은 분들이 사회적인 통념이나 규칙들에

 자신을 잊고 사회가 요구하는 모습으로

변모해나가는걸 느끼실꺼예요

자존감이나 자존심은 버려야해 여기선 그렇게 하는거야

사회 구성원으로써 규칙을 지키고 그렇게 해나가는거야 .....

물론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때문에

 사회의 기본규칙들은 지켜져야하며 그래야 세상이

순화하며 역기능을 최소화하며 돌아가는건 맞죠

그러나 그안에서 개인의 개성과 자신의 존재 자존감을

지켜나가며 펼쳐낼 수 있는 창구가 없다면..

그게 묵살되거나 보편화된다면....나란 존재는 나를 가장 사랑하는

나란 존재는 어느순간 존재하지 않게 되죠

이책을 만나면서 정말 나를 돌아보게 되었어요

 

세계적인 임상 심리학자 토니 험프리스가 전하는 따스한 치유의 메세지들은

실제 다양한 임상실험의 결과들과 그의 연구성과가 집약되어

 있는 그대로의 나를 찾아나가는 여행을 선사하죠

인문도서가 다소 무겁게 느껴지는 분들도 많을꺼예요

너무 철학적이거나 거리감이 느껴질수도

하지만 나를 중심에 두고 나를 생각하고

 나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탐구해보는건 정말 가치있는 일이 될꺼예요

 나를 가두었던 가면들을 하나하나 벗어내고 있는 모습그대로를 돌아보는건

어쩌면 벌거숭이가 되는 느낌도 있어요

그런데 그런 순간들이 순수해지고 진정한 나를 깨달아가는 과정이라면...

삶의 중반에 접어드니 내가 가장 좋아하는건 지금 당장 하고싶은건???

뭘까 쉽게 답하지 못하는

내자신에 대해 참 무기력해질 시점....

누군가의 아내 누군가의 엄마 엄마의 딸 며느리가 아니라

나란 존재를 찾아나가는 여행은 너무 필요한 여행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삶을 살아가면서 사회적 욕구에 지쳐나가시나요???

나를 잃고 너무 일에 매진하거나 삶의 무기력함을 느끼시나요?

상처받고 낮아진 자존감을 회복하고 싶진 않으신가요???

스스로를 사랑하고 싶은 나를 잘하는 나를 깨달아가고 싶은분들이라면....

자존감 회복의 시작인 나를 찾는 과정이 필요한 시점이라 깨닫게 되는 순간

 첫걸음을 도와줄책이란 생각이 들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