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몽화 - 1940, 세 소녀 이야기
권비영 지음 / 북폴리오 / 2016년 3월
평점 :

몽화(夢花)
1940,세소녀의 이야기
권비영지음
북폴리오
덕혜옹주 작가 권비영의 신작을 만났습니다 몽화~~~
우리역사는 아픔이 참 많죠 그중에서도 일제강점기.... 위안부문제와 강제징용은
그 역사의 이야기들을 읽다보면 절로 몸서리가 쳐지기도 합니다
그 아픔을 아직도 가슴에 묻어둔 이들을 볼때면 해결되지 않고 다람쥐쳇바퀴처럼 도는
현실앞에서 진정성 없는 사죄는 울분을 토하게 하는데요
학창시절 마루타 실험을 담았던 영화한편을 보며 너무 큰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있어요
이게 정말 사람이 할짓인가라며 의학적발달이란 명목 전쟁속에 감춰둔 비밀스런 부분들이
드러날때마다 그 시절 아마 몽화속 세소녀 나이쯤이였을꺼같아요
흐르는 눈물을 주체하지못하고 몸이 떨리던 순간이 있었어요
(영화나 이야기 만으로도 이리 몸서리쳐지는데...)
또한 다들 기억하실까요?? 채시라 주연의 여명의 눈동자를 보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설마설마 하며 마음을 졸였던 시간들이 사실 아직도
맘속에 담겨 있으니 ....그시절 일제강점기 영실과 은화 정인이의 삶을 통해
바라본 그 시절의 이야기는 쓸쓸함과 적막감을 오래오래 안겨주더라구요
주재소 순사를 때로 만주로 도피한 아버지 그 아버지를 찾아나선 어머니를 뒤로하고
경성이모네 국밥집으로 오게된 영실
그 주변 으리으리한 집에 사는 (일명 일본 압잡이) 정인
기생집에서 자란 은화
(은화의 출생의 비밀과 내막을 알게되면...그녀의 삶이 더욱 안타까운 순간이 오기도 하구요 ㅠ.ㅠ)
이처럼 서로 너무나도 다른 환경에 처한 세소녀가
은밀한 아지트안에서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며 우정을 쌓아나가게 되는데요
마치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듯 그 공간을 통해 소통하며 삶을 설계하던 세소녀의
엇갈린 운명앞에서 아픈 역사를 만나게되죠
안타깝고 붙잡고 싶고 아니 그렇게 다시 만나길 소망하고 ....
좋은 소식을 기다리며 때로는 이대로 삶을 버려야하는가라며 돌아오는 메아리처럼..
하지만 놓칠 수없는 희망을 뿜어내며 그 풍량을 이겨나가는 영실과 은화 그리고 정인이는
그시대를 살았던 이들의 삶을 대변하기도 하죠
꽃다운 청춘이라 하죠 그렇게 예쁘게 피어나야할 소녀들의 운명
시간이 흐를수록 거센파도가 일렁이듯 순탄치않은 삶속에서도 만날꺼란 그녀들의 우정
기다림의 여운을 남기게했던 소설이예요
여운이 있고 희망이 있기에 이소설의 마지막이 오래간듯해요
그리고 아직 해결되지 않은 이야기들이 해결될꺼란 희망을 꿈꾸며...
세소녀가 함께 아지트에서 그녀들의 삶을 돌아보며 함께 웃을꺼란 기다람의 시간들을 꿈꾸며....
아픔 역사를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우리들 몸이 더러워진 것은 우리 뜻과는 상관없이 일어난 일이에요.
우리의 잘못이 아니라는 말이죠
우리는 전쟁을 원한 적도 없고 전쟁에 미친 군인들을 위무할 생각도 없었어요
그건 미친 바람이 지나간 자리일 뿐이에요
바람은 곧 잠들 거예요
(본문 243page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