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석 거인 - 미켈란젤로의 다비드 상
제인 서트클립 글, 존 셸리 그림, 이향순 옮김 / 북뱅크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리석 거인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

제인 서트클립 글

존 셸리 그림

이향순 옴김

북뱅크

 

최근 남매를 데리고 용산전쟁기념관에서 기획전시중인

 르네상스의 거장 미켈란젤로전을 다녀온적이 있어요

 그 작품들을 하나하나 둘러보면서 정말 미켈란젤로의 천재성에 감탄하고 왔었는데요

 그래서일까요??

다비드상이 만들어진 과정을 아이들 시각으로 동화처럼 엮은 이책이 눈에 확~~들어오더라구요

 정말 엄청나게 큰 대리석이 그당시 천덕꾸러기였긴 했나봅니다

40년간이나 피렌체시민들의 골칫덩어리가 되었으니..말이예요

 

"아~~다비드상이네요"라면서 책장을 넘겨보는 아들입니다

아직은 글책도 좋아하지만 어린동생탓인지 그림책도 꾸준히 보고 있는데요

 작품을 보고와서 인지 더욱 가슴에 와닿는다는 녀석 정말 근사했거든요

크기에 놀라고 전면을 다 둘러보며 감상하면서 정말 거장의 힘을 느꼈던 순간이였다죠

 실제 진품들역시 꼬옥 만나보고 싶었던 순간이였어요

 

 

와닿았던 문구를 아들이 전시 감상하면서 담아왔었는데요

이문구와 책내용이 참 절묘하게 잘 맞는다란 걸 새삼느꼈어요

정말 잠들어 있는 존재를 보고 빛을 보게 인도했던 미켈란젤로의 짧은 시 문구처럼요

 

새총을 든 다비드

돌 깨는 활을 든 나

미켈란젤로

 

 

 

많은 이들이 다비드상 조각에 도전하지만 참 쉽지 않았던 작업

수년간 그렇게 방치되고 커다란 구멍까지 뚫린 대리석은

그래서 볼품없는 취급을 받고 버려지기 일보직전이였어요

 그런데 미켈란젤로는 보았던거죠 대리석 속에 웅크리고 숨어있는 그의 다비드를 말이죠

마치 오랫동안 미켈란젤로를 기다렸다는듯..

그의 기나긴 노력의 과정이 글과 그림으로 표현되며 예술가의 혼이 전달되는 듯했어요

 

한쪽에서는 손이, 또 다른 곳에서는 무릎이 드러났습니다.

이것은 마치 예술가가 대리석 속에 숨어있는 다비드를 끄집어내는 것 같았습니다

 

 

작품이 탄생되어가는 과정을 그림과 글로 찬찬히 만나고 나니 정말 뭔지모를 뭉클함이 전해집니다

아들역시 책을 통해 다비드상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함께 지켜보면서

 미켈란젤로가 했던 그말의 의미를 다시금 알것같다더라구요

 

최고의 예술가는 대리석내부에 잠들어있는 존재를 볼 수 있고

 조각가의 손은 돌안에 자고 있는 형상을 자유롭게 풀어주기 위하여

 돌을 깨뜨리고 그를 깨운다란 문구의 의미를 말이죠

버려진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던 대리석이 미켈란젤로를 통해 다비드상으로 탄생될때....

그 감동이 잔잔히 전해지며 아이들은 예술작품을 감상하는 또다른 즐거움을 느끼게 될꺼같아요^^

 

 

기회가 되심 책과 함께 르네상스의거장 미켈란젤로전도 다녀오시길~!!바래요^^

그 거대한 다비드상이 주는 감동이 아직까지 여운으로 오래도록 남더라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