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아이가 공부를 못하는 진짜 이유
최영현 지음 / iwbook / 2013년 6월
평점 :

우리 아이가 공부를 못하는 진짜이유
교육전문 디자이너 최영현 지음
상상의 날개
제목만 놓고 보면 아..받아들이기 싫지만 인정해야하는 공부란 틀에 한숨이 절로 나오게 됩니다
사실 전 초등생때 공부를 정말 지독히도 못했던 축에 속해요 그래서 아이에게도 이야기하죠 ㅋ
"엄마는 초등학생때 정말 공부 못했어"라구요 ㅋ 약간은 직절적으로 이야기하며
아이는 공부를 잘했음하는 내심 바라는 맘이 은연중에 있는건 어쩜 부모로써 당연한 부분인듯해요
유아때는 그래도 나름 많이 놀리고 학습적으로 접근도 덜하며 보냈다고 생각했는데
초등입학하고 고학년의 문턱에 접어둔 초등4학년 아이를 보면서 어느순간 나역시
아이에게 공부를 체할정도로 강요하고 있었다란걸 느끼게 되었어요
이책을 만나기 전엔 이제는 당연히 학습적으로 더 어려워지기 전에 잡아한다란
일념으로 아이를 나도 모르게 닥달하고 있었는데 어찌 내 이야기를 이러 하고 있는지 반성을 하게 되었다죠 ㅎㅎ
뭐가 그리도 불안하고 재촉하게 만들었던지......
어느순간 뒤쳐지는 과목들이 눈에 띄니 이대로는 안되겠다란 생각에 아이에게 체할정도로
강요하고 있었던 제가 얼마나 어리석었는지 좋아하는 부분까지 싫어질까....참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작가는 교육전문 디자이너예요 두 아이의 엄마 그런데 어쩜 저와 상황이 비슷한지
큰아이가 초등3학년때 둘째를 낳아 지금 둘째가 초등 4학년....
제가 초등3학년때 둘째를 낳았으니 ㅋㅋ 비슷한거겠죠 ㅎㅎ 큰아이가 지금 초등4학년....
3학년까지는 그럭저럭 부담도 없이 아이가 하는데로 조금은 지켜봐주려고 노력했는데
4학년이 되니 왜 이리 과목수도 많아지고 한층 어려워진 교과목에
헉~~소리가 절로 나오며 내가 봐줄 수 있는 한계점을 느끼고 있었어요
거기다 늦게 본 둘째탓에 3학년은 제대로 잡아주지 못했다란 죄책감이 들면서
나도 모르게 아이에게 강요아닌 강요를 하고 있었다란 자기반성의 시간들...
면죄부를 위해 아이를 내몰고 있었던건 아닌자 글 하나하나 읽으며 곱씹어보며
이책은 진정 아이를 위해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건 뭔지를 깨달아가는 과정이였어요
때로는 공부에 치이고 지친 아이들을 더 내몰고 성적위주의 삶으로 내몬건 아닌지.....
아이가 진정 원하는건 뭐였는지 한번쯤은 부모입장이 아니라 아이입장이 되어 생각해볼 수 있는 여지를 말이죠
처음과 중간에 동자승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놀기 좋아하는 동자승에게
물이 반정도 담긴 컵을 채우면 원없이 놀게 해준다란 주지스님의 말씀
대신 도구를 사용하면 안되고 물은 20분정도 거리 앞마을 우물에서 떠와야하구요
동자승은 자신있었지만 쉽지가 않았죠
그러다 한 노인이 울먹이는 동자승에게 컵안에 다른걸 넣어도 되지 않겠냐면서 콩한줌을 줍니다
그 콩을 넣었더니 컵의 물이 올라가 가득차게 되고 주지스님은 그걸 보고 아무말씀도 없었죠
동자승은 그 후 어떻게 되었을까요??? 콩에서 싹이 트는걸 보며 그걸 잘 키워나가다보니
어느새 놀이보다 더 즐거운걸 발견하게 되었다란 이야기...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왜 우리는 꼭 그 안에 물로 채워야한다고 생각할까요???
내 아이가 공부만이 아니라 또다른 콩을 심을 수 있는 가능성을 왜 배제한채
그렇게 공부 공부 학업성적위주 12년이나 입시지옥을 맛보게 변했을까요???
내가 그 과정을 겪으며 너무 힘들고 야자시간에 도망치고 싶고 얼른 벗어나고 싶었던 그 심정을 왜 잊고 있었을까요??
그래서 저부터 바꿔나기기 시작했어요 학교 가는 아이에게 공부 열심히 해가 아닌 오늘도 재미있게 놀다와요 ㅎㅎ 라구요
아이가 콩을 찾아나가 자신의 싹을 틔워나가도록 인도해주는 부모가 되려구요
자꾸 학업위주 성적위주로 아이를 내몰지 말자구요
우리아이가 공부를 못하는 진짜이유는 어쩜 공부만을 강요하고 있는 현실탓은 아닐런지요.....
딱딱하게 이야기를 풀어내지 않고 작가의 경험과 다양한 실례를 통해
한번쯤 고민하고 있었던 이야기들을 풀어주니 술술 읽혀내려가더라구요
아이와의 관계를 다시한번 생각해보며 부모위주가 아닌 아이를 위한 콩에 대한 이야기를 꼬옥 나눠보시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