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회적 우울증 - 사회적 관계에서 오는 현대인의 마음의 병, 신종 우울증을 해부한다!
사이토 다마키 지음, 이서연 옮김 / 한문화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사회적 우울증
사이토 다마키 지음
이서연 옮김
한문화
우리가 알고 있는 우울증이란 어떤것일까???
기존에 알고 있는 우울증의 증상과 대처방법과는 다른 작가가 들려주는 신종우울증을 보며
아....그래서 우울했던거구나 그래서 의욕상실이 되어
사람이 갑자기 무기력했던거구나란 깨달음이 왔다
사실 직장생활을 하면서 일에 빠져있다가 갑자기 기운이 없어지고
무력해지는 시점이 올때 나역시 꾀병이 아닌가???
일하기 싫어 꾀를 부리고 있구나라고 느낀게 사실이다
나역시 직장생활을 하며 알게모르게 일할때는 의욕도 없고
놀거나 내가 좋아하는 일에는 흠뻦취해 눈빛이 반짝일때...
이게 과연 우울증증세인가 싶었는데....
이책을 만나면서 사회의 변화 문화와 가치관의 변화가
이러한 사회적우울증을 양상했구나라고 알게되니 개인적인 문제만으로
치부하기엔 사실 심각성이 크게 다가왔다

일본 최고의 은둔형 외톨이 전문가인 저자는 신종 우울증 원인과 치료법이
모두 사회적 관계에 있다란 뜻에서 <사회적 우울증>이라고 부르고 있다
국민질환이라 할정도로 우울증을 앓고 있는 현대인들이 참 많다
거기다 우울증 치료방법 또한 달라지고 있다 예전엔 투약과 휴식이란 치료제만으로도
어느정도 호전되던 우울증이 이런게 그낙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라 하니...
증상이 오히려 가벼운듯한데 딱히 치료방법을 강구하지 못해 가짜 우울증이라 이야기할정도라니 ...
미디어의 영향, 불안의 본질의 변화 (수명에 집착하던 불안이 이젠 존재에 대한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다)로
우울증 증상이 달라지고 있는것이다
가볍게만 치부하고 넘겼던 일들이 우울증이란 부분을 느끼며
내 주변 내 가족을 다시 돌아보고 함께 이겨낼 수 있도록 독려하기 사작한거 같다
그냥 잔꾀려니 넘겼던 일상이 어쩜 심각할 정도로 우울증세의 강도를 높일수도 있겠구나란 생각을 하게 되었다
단순 약물치료 휴식에 의존하지 말고 대인관계 가족안에서 해결점을 찾아나가야 겠다
관계와 활동을 통해 해결해나갈 수 있는 방법들을 터득하며
이책이 현대 우울증에 고민하고 힘들어하는 이들에게 보탬이 될꺼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