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 씻는 날 ㅣ 학고재 대대손손 5
이영서 글, 전미화 그림 / 학고재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씻는 날
이영서 글 전미화 그림
학고재
[책과 노니는 집]으로 제 9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을 받은 작가 이영서님...
이분의 책을 읽고 감동받은 그 느낌을 담아 아이에게도
그분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란 설렘으로 이 책을 아이에게 선물했어요
책 씻는 날....제목부터 참 호기심이 발동하죠 우리 옛 조상들의 전통 중 책이 귀한 시절
한권의 책을 다 뗀 아이가 떡과 음식을 장만하여 스승님과 동무를 대접하던 '책씻이' 이야기..
실제 1억 1만 3천번의 책을 읽은 조선중기 시인 김득신의 어린시절을 작가의 상상력을 동원해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랍니다
이 책속 등장 인물 몽담은 김득신의 어린 시절의 이름이예요

이 책을 읽자마자 자기도 책씻는 날을 만들어야겠다나요 ㅋㅋ
우리 옛 전통을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그보다 자신도 이처럼 읽고 또 읽으며 이해할때까지 외울때까지 해본다라구 말하는 녀석이 기특했어요

몽담이는 어린시절 어리석음탓에 둔한 아이라 불리웠어요 바보가 아니고서야
그러면서 외숙으로 부터 공부보다는 활쏘기나 말타기를 가르치는게 시간낭비를 덜 하는거란 소리도 듣게 되죠
그러나 아버지는 알고 계셨죠 몽담이의 노력을 말이예요
"하지만..........나는 말일세,
저 아이가 저리 둔하면서도 공부를 포기하지 않으니 그것이 오히려 대견스럽네."라며 믿어주시죠
또한 몽담이에게 글을 깨칠때까지 읽고 또 읽을 수 있는 힘을 용기를 주며
몽담이는 정말 그 누구보다 책읽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어요
그렇게 드디어 책 씻이 날....다 배운 책을 깨끗이 손질해 동생들에게 물려주는 날이 다가왔어요
그러나 노력하는 자를 이길 수 없다하죠 드디어 더듬거리지만 몽담이도 천자문을 되짚어가며 외우게 되죠
그러나 훈장님은 책씻이를 못할꺼같다며 필요없다하시네요...왜냐구요....

몽담이가 펼쳐본 책이랍니다 얼마나 많이 읽고 읽었으면 이렇게 너덜너덜 해졌는지...
거기다 밑줄은 얼마나 많은지...그리고 몽담이가 받아든 성적표에는 無자가 적혀 있었어요
부지런할 근(勤)를 더없이 실천한 몽담이에게 더이상 가르칠것이 없다란 스승님의 뜻...
맹자가 천하의 영재를 가르치는 것이 군자의 즐거움이라 했지만 스승님은 부지런한 몽담이를 얻어
더없이 행복하시다란 말씀속에 왜 이리 가슴이 찡한걸까요???

책을 읽고나서 느낌을 짧게 적어봤어요
그리고 인상적인 그림도 스케치 해주구요 ㅎㅎ 그림의 주인공은 몽담이....
하얀 종이위의 無 의 의미를 알고 나니 몽담이의 값진 노력의 더욱 빛나는거 같아요 ㅎㅎ

<나도 몽담이 처럼 천자문이 외워지지 않으면 백번 천번을 읽고
그래도 외워지지 않으면 만번 억번을 읽으면서 무엇이든 정말 열심히 할것이다
꼭 아주 아주 ..............아주 열심열심히 할거다>
ㅋㅋ 몽담이의 노력하는 모습이 참 보기 좋았다구 해요 알때까지 외워질때까지
마르고 닳도록 부지런히 정진하던 김득신 시인의 그 모습을 통해
쉽게 좌절하고 포기하지 않는 모습을 배워나갈꺼라 믿어요
또한 우리 옛 전통이야기를 통해 그런 되물림의 의미도 되새겨 보며
無란 성적표를 들고 있는 몽담이의 미소에 흐뭇해지던 책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