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주르, 뚜르 - 제11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보름달문고 40
한윤섭 지음, 김진화 그림 / 문학동네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봉주르, 뚜르

한윤섭 글

김진화 그림

문학동네

 

봉주르, 뚜르~!!처음 이 책을 만나며 표지 뒤에 두 소년의 모습이 너무나 아련했다

 뒷모습 속에서 뭔가 이야기하듯...포근하지만 왠지 모를 정적과 그 무엇인가??? 그게 뭘까??

문학동네어린이 문학상 대상 수상작인 한윤섭작가의 봉주르, 뚜르~!!

아이가 커가면서 어린이동화에 관심이 쏠리며 나 역시 내 손안에 어린이 동화가 가득하다...

 

프랑스 뚜르란 작은 시골도시....

여유로움과 시간의 멈춤을 느낄...긴장감이나 사건이라곤 없을꺼같은 적막한 이곳에서 과연 어떤 일이 생겨날까?

 

뚜르로 이사온 날...방안 책상한 켠에 쓰인 글귀....

마치 독립을 갈망하듯 뭔가 의미를 부여하듯 봉주의 가슴속에 각인된 글씨...



 

사랑하는 나의 조국, 사랑하는 나의 가족....살아야 한다

그렇게 안중근 의사의 모습이 떠오르며 이 글귀의 주인공은 누군지란 호기심에 봉주는 상상을 해본다

 

외국생활 속에서 잊었던 우리나라...그리고 새로 전학온 학교에서의 동양인 토시와의 만남~!! 

봉주와 토시와의 이상야릇한 심리전과 남북의 오묘한 사상대립이 주는 의미 속에서 봉주의 궁금증은 조금씩 실마리를 풀어나가기 시작한다





 

한번도 한국인이 거주하지 않았다란 집에서 한국인의 글씨가 발견되었다...

낯선 이방인이란 생각에 왠지 모를 반가움과 글귀의 절박함이

봉주로 하여금 주인공을 찾아떠나는 탐험가의 기질을 발휘하게 한다....

호기심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어떤 의미를 간직하고 누군가의 비밀을 밝혀내 곤란한 상황에 쳐해질지도 모른체....

 

동화를 읽는 내내 책장을 덮을 수가 없었다

어린 순수한 맘에 호기심을 가지던 시절로 타임머신을 타고 나 역시 함께 떠나고 있었으니 말이다

그리고 막연했던 우리의 분단현실을 다시금 돌아보게 했던 봉주르, 뚜르~!!

 

그리고 긴장감...

천안함 사태 그리고 최근 연평도 도발사건...

우리에게 북한이란 존재는 어떤 존재인가??

한 민족 한 국가 그러나 서로 허리가 잘려진 분단현실...

어른의 잣대 때문인가?

아니면 지금 처한 환경 한반도 전쟁우려에 대한 긴장감탓일까?

 

그러나 봉주는 사상 이념과는 달리 순수한 우정으로 그냥 자연스레 알아간다...

아이들은 고정관념의 틀로 색안경을 쓰는 대신 순수함으로 진정으로 우정으로 맺어지길 원한다란걸 ...

봉주와 토시의 모습 속에서 진정으로 알았다 오히려 그걸 저해하는 요인은 어른들의 오해의 시각들임을 ..

안타까움과 그렇게 살아가는 살아야할 우리민족은 어느정도일까??

 

또한 너무 모르고 지나치는건 아닐까??

막연한 통일이 아니라 아니 그냥 배타심으로

 이기심으로 내몰아치고 생각을 닫아버리기엔 너무나 많은 공백이 있었던건 아닌지....

 

봉주와 토시가 함께 공원안 연못을 바라본다...

여느 아이들처럼...서로의 언어를 쓰며 우정을 쌓아간다

그냥 함께 음료수를 마시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이들에게 남한과 북한의 의미가 있었을까???

 함께 활짝 미소를 띠며 사진을 찍는 두 아이의 우정을 지켜주고 싶었다...

 

아이들은 자신의 모습으로 이념의 갈등 지금 한반도의 긴장감 전쟁이란 아픔보다는 친구로 순수한 우정으로 접근하고 있었다.

두 아이가 호숫가에 던지는 물고기 밥을 바라보며 말하지 않아도 서로 같은 민족이란걸 봉주르 뚜르를 통해 다시금 떠올려봐야할 문제가 아닐까??

 




 

 

 

지금 우리에겐 마음이 장벽이 가장 큰거 같다 서로 다른 공간 다른 이념아래 살아간지 60년이 지난 세월...

 

그러나 봉주와 토시 두 아이에겐 그런 장벽도 이념도 벽이 될 수 없었다 서로의 맘이 더 간절했고 깊은 우정에 더 충실했다

아이의 맘으로 스스로 무너져내리는 장벽을 만날 수 있었던 봉주루, 뚜르~!!그들의 우정을 지켜주고 싶다

 

’사랑하는 나의 조국, 사랑하는 나의 가족’ 이 말 속 의미를 봉주와 함께 호기심에 되짚어본다.

아이들에겐 이념도 사상도 문제되지 않는다

우정이란 이름으로 서로가 조금씩 알아가는 두 아이의 모습은 앞으로 우리 아이들의 미래겠지..

마음으로 서로를 알아가며 아픈 현실을 사랑으로 보듬어줄 수 있는 시간~!!

<봉주르, 뚜르>가 가슴으로 전해준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