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는 "생활언어 자가진단 리스트" 작성과 그 해석까지 담고 있으며 욕의 유래, 어원, 욕의 뜻이 담겨있다. 더불어 욕 대신 상대방의 장ㆍ강점을 살려 별명을 부르거나 긍정적인 생각으로 전환시키는 방법들이 나와 있다.나-전달법으로 "너"가 아닌 "나는"으로 대화법을 바꿔 말하는 방법 등 다양한 기법들이 소개되어 있다.욕이 일상 언어 된 아이들...어디 아이들 뿐인가 성인도 마찬가지...얼마 전 수업 중 어느 학생이 묻는다."선생님은 욕 안 해요?""진짜 화가 나도 안 해요?""아이가 화나게 해도 욕 안 해요?"난 "욕할 이유가 없지. 말로 하면 되는걸 굳이 욕을..." 학생들은 오히려 내가 이상하다는 듯 쳐다본다.다음 날 이 책 내용을 ppt에 담아 가져 가 욕에 대해 토론을 했다.욕은 왜 할까?어느 때 하고 싶을까?욕을 하고 나면 어떤 기분이 들까?욕하면 힘 있고 영웅이 될까?등등 책 안에 수록된 "언어생활 자가진단"테스트를 해본 후 결과를 가지고 2시간을 나누기했다.할 말이 많은 학생들...친구들과 있으면서 자연스럽게 욕을 익히기도 하지만 가정에서 부모가 욕을 하는 경우도 많다.상담하는 내내 욕으로 시작해 욕으로 끝나는 학생을 종종 만난다.어릴 때부터 부모한테 자연스레 언어로 배운 학생들이 많았고 또래관계에서 배우고 그러다 보면 화가 날 때 자동으로 나온다고 한다.욕 대신 좋은 말로 표현한다면 어떨까?이 책은 누구나 읽었으면 좋겠다.읽으면서 느끼는 건 지금의 아이들이 욕으로 상처받고 욕으로 달라지는 모습이 안타깝고 혹여나 은연중에 나도 말로 상처주는 일이 없나 점검해 본다.어른부터 욕하는 습관 고친다면...어른부터 욕 대신 좋은 말로 표현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