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워! 우리들의 약속, 법 봄날 지식그림책 2
카타리나 소브럴 지음, 김여진 옮김, 신주영 감수 / 봄날의곰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가워우리들의약속법
#카타리나소브럴_글
#김여진_옮김
#신주영_감수
#봄날의곰

어린이에게 ‘법’이라는 낯설고 무겁게 느껴지는 개념을 친근하고 유쾌한 방식으로 소개하는 그림책이다. 귀여운 캐릭터들이 등장해 일상의 사건들을 예로 들며 “왜 약속과 규칙이 필요할까?”, “모두가 행복하게 지내려면 어떤 기준이 있어야 할까?”라는 질문을 자연스럽게 던진다. 덕분에 아이는 법이 단순히 지켜야 하는 딱딱한 규범이 아니라, 서로의 자유를 지키고 공동체를 건강하게 만드는 ‘우리가 함께 만든 약속’이라는 사실을 이해하게 된다.

친구 간의 다툼, 물건 나누기, 안전 문제 등 어린이가 매일 경험하는 상황을 중심으로 법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때문에 ‘법=어려움’이라는 선입견을 부드럽게 깨 준다. 또한 다양한 사례를 통해 개인의 권리와 책임, 타인의 권리와 배려가 균형을 이루는 것이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이라는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한다.

유머러스한 표정, 간단한 색감 대비, 상황을 재치 있게 표현한 장면들은 복잡한 개념을 시각적으로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가볍게 넘기는 페이지 속 그림만 봐도 이야기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전달력이 뛰어나다.

아이에게 민주주의 기초를 알려주는 입문서로 가정이나 학교에서 토론 활동과 함께 읽기에도 적합하다. 무엇보다 ‘법은 우리를 통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모두를 지켜주는 장치’라는 메시지를 쉽고 따뜻하게 전달하는 점이 인상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빛 고양이
창산 지음, 노영효 그림 / 클레이키위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달빛고양이
#창산_글빛
#노영효_그림
#클레이키위

달빛고양이는 잔잔한 달빛 아래에서 펼쳐지는 고양이의 따뜻한 여정을 통해 ‘위로’와 ‘존재의 가치’를 조용히 건네는 그림책이다. 부드러운 파스텔 톤과 반짝이는 달빛이 포근하게 감싸며, 이야기 속 고양이가 지닌 순수한 눈빛은 마치 마음속 깊은 곳을 들여다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감정의 분위기’로 이야기를 전달한다. 고양이가 달빛을 따라가며 자신만의 빛을 찾고, 때로는 외로운 순간을 지나 결국 스스로를 이해하게 되는 흐름은 아이뿐 아니라 아이에게도 깊은 울림을 준다. 특히 고양이가 주변을 관찰하고, 작은 순간에 감탄하며, 자신에게 스며드는 빛을 느끼는 장면들은 마음의 속도를 잠시 멈추게 한다.
누군가에게 조용히 손을 잡아 주는 듯한 책이다. 무언가를 이뤄야 한다는 압박보다 ‘그냥 존재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는 메시지가 은은하게 스며 있다. 아이에게는 감정 읽기의 기초를, 성인에게는 잊고 지낸 감성의 숨을 돌릴 시간을 선물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가 나면 열을 세어 봐 - 어린이 감정 조절 그림책 다봄 사회정서 그림책
앨리슨 스체친스키 지음, 딘 그레이 그림, 한혜원 옮김 / 다봄 / 202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가나면열을세어봐
#어린이감정조절그림책
#앨리슨스체친스킨_글
#한혜원_옮김
#다봄

아이들이 가장 자주 경험하지만 가장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인 ‘화’를 친근하고 유머러스하게 다룬 그림책이다. 표지의 귀여운 아기 공룡이 분노로 뿌득뿌득 이를 악물고 있는 모습은 어린 독자들의 공감을 즉시 불러일으킨다. “그래, 나도 이럴 때 있어!”라고 말하는 것 같은 표정은 책을 펼치기 전부터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화를 내지 말라’고 훈육하는 방식이 아니라, ‘화를 느끼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며, 그 감정을 어떻게 다룰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데 있다. 주인공 공룡은 스스로 화가 치밀어 오르는 순간마다 열을 세어 보며 감정을 가라앉히려 한다. 이 단순한 행동은 아이들에게 즉각적으로 따라 할 수 있는 감정 조절 전략이다. 감정을 억누르거나 부정하기보다, “지금 나는 화가 났구나”를 인정하면서 그 감정이 지나갈 시간을 주는 연습을 자연스럽게 하게 만드는 것이다.

아이들에게는 ‘내 감정은 내가 다룰 수 있다’는 자기조절의 기본을, 부모나 교사에게는 아이의 감정을 억누르는 대신 지지하고 안내하는 태도의 중요성을 상기시킨다. 간단하지만 깊이 있는 메시지를 담은, 가정과 교육 현장에서 모두 유용한 감정 그림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다정한 종이비행기 한솔 마음씨앗 그림책 137
김성찬 그림, 김경화 글, 권은정 기획 / 한솔수북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다정한 종이비행기
#김성찬_그림
#김정화_글
#한솔수북


작고 소박한 종이비행기 한 대를 통해, 마음이 어떻게 서로에게 닿고 연결되는지를 섬세하게 보여주는 그림책이다. 표지의 푸른 숲과 그 사이를 날아가는 단정한 종이비행기는, 누군가의 마음을 실어 조용히 건네는 ‘따뜻한 메시지’의 상징처럼 보인다. 이 책은 거창한 사건 없이도, 한 사람의 진심이 어떻게 또 다른 사람에게 도달하는지 차분하게 이야기한다.

책 속의 종이비행기는 단순한 장난감이 아니라, 주인공의 감정과 소망을 실어 나르는 매개체다. 날아가는 종이비행기의 궤적은 때로는 흔들리고, 때로는 멀리 뻗어나가며, 우리가 관계 속에서 수없이 경험하는 기대·불안·설렘을 은유한다. 종이비행기를 통해 ‘마음을 표현하는 용기’를 배울 수 있고, 잊고 지냈던 순수한 소통의 방식을 다시 떠올리게 된다.
나는 종이비행기는 평온하면서도 희망을 품은 풍경을 만들어낸다. 색감의 층위가 풍부해 이야기의 감정을 조용히 쌓아 올리고, 종이비행기의 존재가 더욱 소중하게 느껴지는 시각적 여백이 있다.

누군가에게 마음을 보내고, 그 마음이 닿기를 기다리고, 다시 돌아오는 감정의 흐름을 아주 작은 행동 속에서 자연스레 ‘나의 마음은 요즘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 ‘누군가에게 전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봇 철이 고정순 그림책방 4
고정순 지음 / 길벗어린이 / 202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봇 철이
#고정순_글그림
#고정순그림책방
#길벗어린이




---

📚 서평 — 『로봇 철이』

커다랗고 둥근 얼굴을 가진 로봇 ‘철이’는 얼핏 보면 감정이 없어 보이지만, 책은 곧 그 속에 숨어 있는 따뜻함과 순수함을 차분히 펼쳐 보인다.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마음을 가진 로봇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묘한 여운을 남기며, 우리가 ‘사람다움’이라고 믿어온 것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철이는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기계가 아니라, 스스로 느끼고 반응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그는 기쁨과 슬픔, 외로움 같은 감정의 결을 이해해 가며 점점 ‘살아 있는 존재’처럼 성장한다.
감정 표현과 공감 능력의 중요성을, 누군가를 이해한다는 것이 결국 마음의 움직임을 함께 느끼는 일임을 알게한다.
철이가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과정은 서툴지만 진솔하다. 계산된 친절이나 목적이 아닌, 그저 ‘함께 있는 것’에서 비롯된 애정이 담겨 있다. 그래서 철이의 행동 하나하나는 작은 울림을 가지고, 자연스럽게 그 감정에 반응하게 된다.

고정순 작가 특유의 연필 질감이 살아 있는 섬세한 그림 역시 매우 인상적이다. 로봇의 차가운 금속질이 아니라, 마치 손으로 쓸어 넘기고 싶은 듯한 따뜻한 표면을 만들어내며 철이의 존재감에 온기를 더한다. 말수가 적은 그림책이지만, 한 장면 한 장면에 담긴 감정의 깊이가 매우 크다. 그림이 먼저 말을 걸고, 그다음에야 글이 살며시 따라오는 구조라서 아이와 어른 모두에게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로봇 철이는 기술과 감정, 기계와 인간이라는 대비되는 요소를 다루지만 그 결론은 단순하다. “사람답다는 것은 완벽한 기능이 아니라 따뜻한 마음이다.” 철이는 바로 그 사실을 조용히 증명하는 존재다.
따뜻하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여운을 남기며, 로봇 철이의 눈빛은 책장을 덮은 후에도 오래도록 마음속에서 반짝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