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실화라는 사실에 머리카락이 쭈삣! 가슴이 철렁! 어서 안개가 걷힌 세상이 왔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공지영 작가의 화제의 신작 도가니... 

제목부터가 내용을 가듬할 수 없음에 더 끌렸다. 

한참 공지영 작가의 책(즐거운 나의 집)을 읽고 있었던 터라 더 관심이 가기도 했다. 

일부러 어떤 내용인지 검색도 하지 않고 책을 구입했고, 읽었다. 

그런데 의외의 서두로 시작하여 내용은 점점더 미궁으로 빠졌다. 

그전의 공지영 작가의 글과는 뭔가 좀 달랐다. 

그 전의 책들은 머릿속으로 그림이 잘 그려졌는데  

도가니는 그림으로 잘 그려지질 않았다.  안개에 둘러싸인 듯이... 

어둡고, 무겁고, 알 수 없는 느낌의 그것이 싫다는 느낌이 드는 순간이 싫기도 했다. 

그런데 이야기가 전개될수록 소설이 그렇듯 다음장이 궁금해졌고, 금새 읽어졌다. 

아마도 학교의 교사가 청각장애인을 성폭행한다는 이야기의 설정 자체가  

마음이 들지 않았던 것 같다. 

좋은 것만 보고, 듣고, 읽고 했던, 그리고 교사였던 나에게 충격으로 다가왔던 모양이다. 

게다가 이 이야기가 실화라니... 

내가 그 동안 세상사에 참 무심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면서 반성 아닌, 반성도 하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나를 또 변화시켰다. 

나 하나만이 아니라, 이 세상의 모든 사람은 똑같이 소중한 사람이라고... 

이기적으로 내 생각만 했던 나에게 주위를 돌아볼 수 있는 넓은 마음의 여유를 준 것 같다. 

어느 누구나 걱정거리가 있고, 고민이 있기 마련인 것 처럼 

내 주위의 어느 누구도 상처를 받고, 이야기하지 못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내가 먼저 손을 내밀어 이야기를 들어주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게 누구든, 이야기를 들어주고 싶다는 생각은 나를 먼저 치유해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실의 시대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유유정 옮김 / 문학사상사 / 200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무살때 친구의 책상에서 이 책을 보게 되었을 때 

친구가 "이거 야한 책이디."라고 말했던 것이 아직까지 기억이 난다. 

나는 그때 그 말을 들으며 '내가 읽으면 안 되는 책이구나.'하고 생각했었던 것 같다. 

그러면서 10년을 후쩍 넘긴 이 시점에서 갑자기 이 책이 읽고 싶어졌다. 

야하다고 말했던 친구의 말에 대한 의미가 궁금했고, 

그러한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는 것이 신기하고, 또 궁금했다. 

또 최근들어 무라카미 하루키가 쓴 다른 책들을 읽어 보았는데 

왠지 모를 꿀림을 느꼈기 때문이다. 

생각했던 것보다 책이 무지 두꺼워서 언제 다 읽나... 했는데 

생각보다 빨리 읽혀졌다. 또 소설이라 그런지 다음 장이 궁금해지곤 했다. 

일본소설이고, 나와는 가치관이 빨리 다르다는 생각에 처음에는 이질감이 먼저 느껴졌는데 

그래, 이렇게 사는 사람들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면서  

이렇게 살면 어떨까??라는 생각도 함께 하게 되었다. 

일본은 미국보다 더 자유롭고 열려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또 그 만큼 극과 극을 달라는 이들이 너무 많다는 것을 알았다. 

자살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는 것을 보면... 

무라카미 하루키는 그런 일본인들의 삶의 기쁨과 아픔과  

사랑이야기를 아주 세밀하게 묘사해주고 있다. 

10대후반부터 시작하여 그들의 생각과 아픔을 모두 털어놓음으로써 

벗어나고 싶어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그러면서 이 소설의 내용이 하루키 본인의 이야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책의 말미에 자전적 소설이라는 글을 읽으며  

그래, 그렇게 세밀하게 묘사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가 있었구나 싶었다. 

어딜 가든, 무엇을 하든 기쁜 일이 있고, 아픈 일도 있을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헤쳐나가느냐에 따라 삶을 바라보는 눈이 달라질 것이며, 

앉아있는 태도와 마음가짐도 함께 달라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 장영희 에세이
장영희 지음, 정일 그림 / 샘터사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장영희 교수의 '내 생애 단 한번'을 먼저 읽고, 이 책을 읽었다. 

많은 기대를 안고 읽어서 인지 조금은 실망감을 느꼈다. 

약속한 날짜까지 써야하는 글을 어쩔 수 없이 써야만 하는 불안감과 피곤함과 짜증이  

그대로 묻어나서 읽는 독자로 하여금 함께 그 시간을 감수하게 만들었다.  

따뜻한 마음보다는 쓴 열매를 안겨 준 듯하다.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는 것을 새삼 느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읽으면서 오랜만에 눈물을 흘려본 것 같다. 

아무런 예상도 하지 않은 순간에 눈물이 주루룩 흘러 내렸다. 

'우행시'는 영화로도 이미 개봉한지 꽤 된 작품으로 너무나 잘 알고 있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영화와 소설은 같은 내용이더라도 분명 그 느낌이 다르고  

공지영 작가가 어떻게 표현했을까... 궁금한 마음에 조금은 망설이다가 읽게 되었다. 

읽으면서 조금 힘든 부분도 있었다. 

공지영 작가의 다른 소설과는 다르게 쉽게 읽어지는 글은 분명 아니었다. 

등장인물들의 성격 때문인 것 같기도 하고, 

주제 자체가 살인과 사형이라는 무거운 주제라서 그런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등장인물이 변해가는 전개에 따라 나의 마음도 조금은 기대되고, 정리가 되는 기분이었다. 

안타깝게 살인 누명을 쓰고 사형이 집행되는 주인공의 심리를 잘 표현해주었다. 

비록 자신이 살인은 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깨달았고, 

자포자기한 심정으로 벌을 받아야함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게 되기까지 

또 마지막 순간에는 살고 싶은 마음이 들게 되기까지... 

조금 갑작스럽기는 했지만 모든 생각이라는 것이 질서있게 결정되는 것만은 아니기 때문에 

그 급박한 심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또한 그 모습을 지켜보면서 자신이 과거에 입었던 상처를 처음으로 자신의 입으로 이야기하고 

그러면서 용서하고, 치유되는 과정이 안타까웠지만 절절하고  

무언가가 딱딱 맞아떨어지는 기분이었다. 

사랑이라는 것은 이렇게 뜻하지 않게 우연히 다가오는 것이고, 

어느 누구도 예상할 수 없고, 그 과정과 결과 또한 그런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