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밤 - 애거서 크리스티 재단 공식 완역본 황금가지 애거서 크리스티 전집 11
애거서 크리스티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끝없는 밤>은 오랜만에 읽어본 애거사 크리스티의 추리소설이다.

예전에 <움직이는 손가락>을 읽고 지루하고 따분해서 한동안 애거사 크리스티의 소설은 찾지 않았는데 

우연히 텔레비전에서 독서프로그램 중 어떤 뮤지션이 이 책을 소개했던 것이 생각나 읽어보게 되었다.

<끝없는 밤>은 추리소설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로맨스 심리소설로도 얘기할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불행한 살인사건이 일어나니 흔희들 기대할 수 있는 달콤하거나 아름다운 로맨스는 아니다.

오래전에 읽었던 <움직이는 손가락>도 <끝없는 밤>처럼 마음 속에 품어서는 안될 사랑이 소설의 주요 소재였다.

하지만 <움직이는 손가락>은 살해된 인물 주변에 여러 등장인물이 있고 범인을 찾아가는 전형적인 추리소설이지만 

<끝없는 밤>은 형식과 내용면에서 많이 다르다.

애거사 크리스티의 추리소설을 많이 읽지 않은 나로서는 <끝없는 밤>이 그녀가 쓴 소설 중에서

이례적인 에피소드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일반적인 추리소설과는 다른 전개로 풀어나간다

<끝없는 밤>은 형식과 인물들의 심리 자체가 스포이므로 앞으로 이 책을 읽어볼 독자를 위헤 구체적으로 쓰진 않겠다.

단지 여기서 말할 수 있는 것은 이 소설의 목적은 반전과 범인찾기가 아니라 사랑과 인간의 본성에 대한 씁쓸한 깨달음이 아닐까 싶다.

추리소설로서 어쩌면 예상할 수도 있는 반전이었고 그 반전이 훌륭한 장치로 작용한 것도 아니었지만, 

그건 애시당초 작가의 의도로 보자면 중요하지 않았을 것이다.

소설의 반전은 독자로 하여금 주인공이 단순히 연인을 잃은 슬픔이 아니라 더욱 복잡한 내면세계로 다시 회상하게끔 만든다.

그리고 모든 것이 다 밝혀진 후, 소설은 끝으로 향할수록 깊어지고 우아해진다.

인간의 가식적인 모습, 세상에 떠도는 선악, 모순되는 마음, 본성에 대한 믿음 등...

세상살이와 인간의 본성에 통달한 어느 경험 많고 나이든 작가의 인생무상이 느껴진달까.

인간이 나중에 후회하게 될 일을 스스로 자초하는 어리석음과 욕심이 드러날 때에는 

나도 모르게  범인과 순간적으로 동일시하며 읽기도 했다.

소설자체의 재미를 떠나 그래서 여운이 오래 남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도 없는 한밤에 밀리언셀러 클럽 142
스티븐 킹 지음, 장성주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마디로 왜 사람들이 그토록 스티븐 킹을 찬양하는지 실감하게 해주는 책이었다.

<별도 없는 한밤에>는 스티븐 킹의 중단편소설을 엮은 책으로 읽기 전에는 페이지가 꽤나 많다고 생각했는데 왠걸...손에서 떼어놓을 수 없을 정도로 밤잠을 줄일 정도로 스릴감이 대단하다.

그다지 길지 않은 분량의 소설들은 호러, 복수극, 환타지 등 각각 나름의 특색을 지니고 있고, 개성 뚜렷한 인물들의 독백이며 심리묘사, 긴장감을 더해주는 그의 문장력은 과연 스티븐 킹의 세계로 빠져들게 만든다.

특히 주인공들은 선과 악 사이에서 그 어느 것도 확실하고 명백하지 못한 보통의 인간 내면을 지니고 있으면서 더 인간적이며 너무나 매력적인 모습으로 읽는 이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감정이입을 하게 한다.

또한 그의 소설은 대중소설의 외양을 갖고 있다고 가볍게 읽을 수만은 없다.

인간의 내면 깊숙한 곳의 억압된 심리, 인생의 위기, 사회비평 등 스티븐 킹은 우리가 갈등하는 주인공의 입장에 서서 고민하게 만든다.

개인적으로 <행복한 결혼생활>은 스티븐 킹의 다른 소설과 비교해봤을 때 이야기구성,주인공,결말등이 다소 아쉬웠지만 그외 나머지 <1922>,<빅드라이버>,<공정한 거래>는 어느 것이 더 재밌고 좋다고 꼽을 수 없을만큼 신나게 읽었다.

그리고 맛깔나는 번역도 이 소설의 재미에 큰 역할을 하지 않았나 싶다.

<별도 없는 한밤에>를 읽고나서 스티븐 킹의 다른 책을 읽어보았지만 아쉽게도 번역이 껄끄러워 작가의 의도와는 달리 속도감 있게 읽히진 못했다.

어쨌든 요즘같은 한여름밤엔 무더위를 잊게 해줄 수 있는 작가는 스티븐 킹이 최고다.

그리고 그의 수많은 소설 중에서 하나만 꼽는다면 <별도 없는 한밤에>를 강력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개츠비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림원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를 통해 줄거리는 알지만 엄청난 고전명작이라 읽기 어렵지 않을까 했는데 

의외로 대중소설처럼 쉽게 읽혔고 재미도 있었다.

이미 아메리칸드림이 끝나버린 시대에 어찌어찌 우연과 부정직함으로 부를 쌓아서

상류층으로 들어올 수는 있었지만 개츠비는 그 세계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던 것 같다.

그들은 개츠비를 이용하고 버릴 뿐, 화려하고 거대한 그의 저택과 대비되는 그의 장례식은

찾아오는 이가 아무도 없고 아무도 그의 죽음에 대해 알려하지 않으며 쓸쓸하고 초라하기 짝이 없다.

그가 늘 동경해마지 않았던 그 세계는 사실은 야비하고 추악함으로 가득차 있었지만,

그의 삶에서 단 하나의 희망, 오직 데이지에 대한 사랑과 믿음은 너무나 순수하고 고결하다.

데이지를 끝까지 믿고 사랑한 이유로 개츠비는 죽게 되는데,

그녀는 그가 죽은 후에도 여전히 아무런 자성없이 제멋대로 잘 먹고 잘 살아갈 것이다.


가끔 생각한다.

낭만은 이성적이지 못하다며 비웃음을 사고,

열정은 이용당할 값싼 재료에 불과하며,

순수한 꿈은 그 망상을 떠올려보기도 전에 현실자각이 없다며 손가락질 받는데

누가 자신을 위한 순수한 열망과 그에 대한 노력을 끊임없이 지속할 수 있을까.


실체는 더럽고 야비하고 추악하기 그지 없는데,

어떤 인간은 조금도 의심없이, 흔들림 없이 

그 대상을 사랑하고 가까이 가고자 열망한다면,

우리는 과연 그의 인생을 헛되다고 어리석다고 쉽게 판단해도 되는 것일까.

소설 속에서 주인공인 개츠비는 죽었지만, 

그의 정신적 열망은 세상이 경박하고 비겁해질수록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져야 할 것 같다.

<위대한 개츠비>가 왜 여러차례 회자되고 리메이크 되는 고전반열에 있는 작품인지 알 것 같다.


내 마음 속에서도 늘 동경하고 여전히 아름답게 반짝이는 것이 있다.

보잘 것 없는 내가 그 언저리에 발을 딛는 것조차 어려운 일이다.

죽을 때까지 그 언저리만 기웃거리다가 생을 마감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러한 것들은 하찮고 하찮은 먼지와 같은 인간에게 얼마나 삶을 의미있게 해주는가.

<위대한 개츠비>는 찰나의 불꽃처럼 아름다운 환영을 보여줌으로써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마음 속에 품고 추구하는 그 무엇에 대해,

그런 인생을 사는 이들에게 보내는 격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