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명화, 붉은 치마폭에 붉은 매화 향을 담다 (표지 2종 중 ‘빨강’ 버전)
서은경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받아들며 '붉은 치마폭에 짙은 매화 향을 담다'라는 소제목에 꼭 맞는 표지의 색감과 '대한민국 콘텐츠대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수상'이라는 정보가 먼저 눈에 들어왔다. 그리고 고운 비단 같은 느낌의 표지를 넘기자 만나게 되는 것이 만화라는 것이 신선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처음은 등장인물에 대한 소개로 시작하는데, 현대의 인물들을 만화로 나타낸 것임에도 화선지의 질감이 느껴지는 종이의 표현과 함께 수묵화 같은 느낌이 나서 책의 주제와 잘 어울리는 느낌이었다. 이야기 속 주인공이 그림 작가여서 실제 작가의 모습이 얼마나 반영되었을까 궁금하기도 하였다.

이 책은 정선의 인왕제색도, 안견의 몽유도원도 등 조선의 명화 11편을 소개하고, 마지막에는 다양한 고사 인물화·산수 인물화 작품들을 함께 다룬다. 교과서에 실릴 만큼 유명한 작품들도 있고 처음 보는 작품들도 있었는데, 주제로 다루는 11편의 작품뿐만 아니라 같은 작가나 비슷한 소재의 작품을 함께 소개하여 다양한 조선의 명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그리고 등장인물을 소개하며 시작한 한 편의 만화 형식을 띠면서도 책의 장마다 구성을 달리 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어떤 장은 주인공들이 등장하여 사건이 전개되기도 하고, 어떤 장은 이 인물들 없이 조선 시대 그림의 탄생 배경을 상상하여 표현하기도 하였고, 또 어떤 장은 그림에 담긴 내용을 한 편의 이야기처럼 표현하기도 하였다. 각 작품을 보며 작가가 느끼고 상상한 바를 최대한 잘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 고민한 흔적들을 엿볼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정선의 '인왕제색도'에 담긴 두 지기의 우정, 정약용의 '매화병제도'에 담긴 아버지로서의 마음 등 작품의 배경과 의미를 새롭게 알 수 있어 좋았다. 익숙하면서도 거리감이 느껴지던 조선 시대의 작품들이 작가의 애정 어린 시선을 통해 한 걸음 가까이 다가오는 느낌이었다. 수묵화와 만화라는 표현 방법의 변화처럼 시대를 오가며 작품과 작가들을 만나게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