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은 어떻게 거짓이자 진실인가? - 화이트헤드와 함께하는 느낌의 미학 시공의 나침반 시리즈
조경진 지음 / 사람의무늬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학적 관점에서 화이트헤드를 읽어내는 독창적인 저서. 꼼꼼히 읽다보면 상당한 지적 쾌감을 선사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경제사회학의 이해
공유식 외 / 역사비평사 / 1994년 9월
평점 :
품절


경제사회학 분야에서 고전적인 논문들을 모아 번역한 논문집.

이하 챕터별 원논문명.


제1부 경제사회학의 전개와 새로운 패러다임


제1장 경제사회학의 전개와 새로운 패러다임

 유홍준, 1991, "경제사회학의 발전과 신경제사회학 패러다임의 과제", 『사회과학 30(2): 7-26을 수정보완.


제2장 경제학과 사회학의 비교

 Paul Hirsch, Stuart Michaels, Ray Friedman, 1990, "Clean models vs. dirty hands: Why economics is different from sociology?"("깨끗한 모델 vs. 더러운 손: 경제학은 왜 사회학과 다른가?"), in Structures of Capital: The Social Organization of the Economy, edited by S. Zukin and P. DiMaggio,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제3장 경제사회학의 방법론

 Richard Swedberg, Ulf Himmelstrand, Goran Brulin, 1990, "The paradigm of economic sociology"("경제사회학의 패러다임"),  in Structures of Capital: The Social Organization of the Economy, edited by S. Zukin and P. DiMaggio,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제2부 제도로서의 경제


제4장 거래비용경제학과 사회학

 Oliver Williamson, 1988, "The economics and sociology of organization: Promoting a dialogue"("경제학과 조직사회학: 하나의 대화를 시도하기"), in Industries, Firms and Jobs: Sociological and Economic Approaches, edited by Geoge Farkas and Paula England, New York: Plenum Press.


제5장 기업역사학

 Alfred D. Chandler, Jr., 1990, Scale and Scope: The Dynamics of Industrial Capitalism. Ch.1-2(『규모와 범위: 산업자본주의의 역학』 1-2장), Harvard University Press.



제3부 문화로서의 경제


제6장 경제현상의 문화적 양상

 Paul DiMaggio, 1990, "Cultural aspect of economic action and organization"("경제적 행위의 문화적 측면과 조직"), in Beyond the Marketplace, edited by R. Friendland and A. F. Robertson, New York: Aldine de Gruyter, 1988, pp.113-136.


제7장 경제문화: 포스트유교주의와 사회민주주의

 Steward R. Clegg, Winton Higgins, Tony Spybey, 1990, "Post-confucianism, social democracy and economic culture"("포스트유교주의, 사회민주주의, 경제문화"), in Capitalism in Contrasting Cultures, edited by S. R. Clegg and S. G. Redding, New York: Walter de Gruyter.


제4부 구조로서의 경제


제8장 경제행위와 구조

 Mark Granovetter, 1985, "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경제행위와 사회구조: 배태성의 문제"),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481-510.

(같은 논문의 번역으로 다음 문헌이 있음. Mark Granovetter, 2012, "경제적 행위와 사회구조: 배태의 문제", in 『일자리 구하기: 일자리 접촉과 직업경력 연구』, 유홍준, 정태인 역, 아카넷, pp.334-382.)


제9장 산업ㆍ기업ㆍ직무의 구조

 Paula England, George Farkas, 1988, "Economic and sociological views of industries, firms, and jobs"("산업, 기업, 일자리에 대한 경제학적 관점과 사회학적 관점"), in Industries, Firms and Jobs: Sociological and Economic Approaches, edited by Geoge Farkas and Paula England, New York: Plenum Press.


제5부 조직으로서의 경제

제10장 조직부문의 구조화: 제도적 동형화와 집합적 합리성

 Paul J. DiMaggio, Walter W. Powell, 1983,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쇠우리 다시보기: 조직장에서의 제도적 동형화와 집합적 합리성"),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147-160.


제11장 경제부문의 조직화

 김혁래, 1992, "동아시아 산업조직 비교연구", 『연세사회학 13 을 수정보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공지능의 마지막 공부 - AI에게 철학을 가르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오카모토 유이치로 지음, 김슬기 옮김 / 유노북스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인공지능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들과 입장들을 주제별로 정리해주는 입문서 격의 책. 깊이가 있는 건 아니지만 일단 이 책을 통해 큰 그림을 그리고, 책에서 소개한 책들을 통해 세부주제를 공략해가면 좋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컨트롤 레벌루션 - 현대 자본주의의 또 다른 기원
제임스 R. 베니거 지음, 윤원화 옮김 / 현실문화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사회가 글로벌화되고 복잡해질 때, 뒤르켐이라면 ‘아노미‘라 불렀을 ‘제어(control)의 위기‘가 발생한다. 이 책은 정보사회의 출현을 산업사회의 출현 이후 대두된 제어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그려낸다. 1989년에 출간된 책이나 30년이 지난 지금 더 의미있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동화 사회 1 - 알고리즘 인문학과 노동의 미래 Up to you 1
베르나르 스티글러 지음, 김지현.박성우.조형준 옮김 / 새물결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의 대담집『고용은 끝났다, 일이여 오라!』를 먼저 읽길 권함. 이 책의 번역은 좀 실망. 특히 3장은 읽지 말고 건너뛰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을 듯(대체재로 조너선 크레리의『24/7 잠의 종말』을 읽는게 나을 듯). 책에서 윅스퀼의 ‘틱 장애‘는 ‘진드기(tick)‘로 수정해 읽을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