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나구 - 죽은 자와 산 자의 고리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김선영 옮김 / 문학사상사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죽은 자를 저승으로 데리고 가는 사자를 우리는 저승사자라고 부르지만, 여기에 나오는 사자는 일본말로 츠나구라고 불리운다. 츠나구라고 불리는 사람은 죽은 자를 데리고 가는 사람이 아니라 산 자와 죽은 자가 서로 만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면회 중개인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하면 무당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실제 무당과 차이점이 있다는 게 그들의 이야기다.

산 자들이 알음알음해서 츠나구들에게 연락해오면 그들은 죽은 자와 연락해 만나고 싶다는 의사가 있을 경우에만 서로 만날 수 있도록 장소와 시간을 정한다. 오직 산 자들만이 죽은 자와의 면회를 신청할 수 있지만, 죽은 자들이 만남을 거부하면 만남을 갖을 수 없다. 그리고 산 자에게는 평생 단 한 번의 기회만 주어진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누구를 만나고 싶으세요?

저는 어머니를 만나보고 싶네요. 다행히 지금은 어머니가 살아계시지만,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꼭 어머니를 다시 보고 싶어 할 것같아요. 든든한 정신적 지주가 되어 주는 어머니, 이 세상 사람들이 내 편이 되어주지 않아도 어머니만은 내 편이 되어주시고 힘들 때 따듯한 위로와 격려로 앞으로 나아가게 하시는 분이기에 그렇습니다.

보름달이 뜨는 날 결코 길지 않는 만남일지라도 그 기회는 산 자와 죽은 자 모두에게 중요한 순간이 될테니까요.

 

<츠나구>에서는 아이돌의 본분, 장남의 본분, 단짝의 본분, 기다리는 자의 본분, 그리고 사자의 본분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앞의 네가지 이야기는 아이유가 중개자가 되어 서로의 만남을 주선해주는 제 3자의 역할을 하지만 마지막 사자의 본분에서는 제 1의 관점에서 자신의 이야기가 전개되며 츠나구의 실체가 드러남으로 이 모든 이야기가 잘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츠나구라는 소재도 독특하지만, 다섯가지의 서로 다른 이야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이야기가 완성되는 과정이 가장 큰 감동적인데 이 다섯가지 이야기들에서 느끼는 각각의 느낌과 감동이 한데 어우러져 이 책의 가치를 높여주는 것같다. 단지 재미있다는 느낌보다 실로 사람의 가슴에 와닿는 내용이라 좋다.

너무나도 평범한 우리네 사는 모습들이 이 이야기속에 고스란히 배어 있어 때로는 가슴을 후벼파는 통증과 죽은 자를 통해 산 자들이 앞으로 나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이 새록새록 들게 만든다. 그 짧은 만남을 통해 엉켜있던 실타래가 차츰차츰 풀어져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준비단계가 되어진다는 느낌이 이 책에서 느끼는 전반적인 느낌이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출발...새로운 출발을 위해... 앞으로 전진~!

 

이 책의 표지를 처음 봤을 때 참 특이하는 느낌을 받았다. 보름달이 뜬 밤에 후트캡을 쓴 젊은 남자가 줄을 타고 내려오는 모습이 이 책을 읽고 싶다는 느낌을 단박에 갖게했고, 책을 읽기 전에 갖는 의문들이 이 책을 통해 하나씩 풀려져 갈 때 '역시~~!!'라는 느낌과 함께 쉽게 읽히면서 우리의 마음을 매만진다는 것이 이 책의 느낌이라고 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