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 부의 탄생, 부의 현재, 부의 미래
하노 벡.우르반 바허.마르코 헤으만 지음, 강영옥 옮김 / 다산북스 / 201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김생민 팬카페에 자주 들어가는데,
많은 분들께서 돈을 어떻게 하면 알뜰하게 잘 모을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시는 글이 많다.
예금, 적금부터 시작하여 대출, 대출상환, 금리 등등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시는데
읽다보면 잘 모르는 이야기들도 많이 나온다.

그러한 이야기를 볼 때마다 나도 경제와 돈에 대해 공부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지금 당장 주식을 할 건 아니지만 (물론 할 돈도 없다.. 또르르)


그래도 경제에 대해 알면 좋을 것 같아서 읽기 시작한 책!!


이 책의 목차는

1부: 돈의 발명, 인플레이션이 시작되다.
2부: 누가,왜 인플레이션을 만들고 이용하는가?
3부: 무엇이 자본주의의 판도를 움직이는가?
4부: 어떻게 인플레이션의 흐름에 올라 탈 것인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이제까지 '인플레이션'이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익히 들었지만
인플레이션이 언제 생겨났으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것은 잘 몰랐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인플레이션의 A부터 Z까지 꼼꼼하게 알려주어서 참 좋다.

각 나라의 정치상황에 따라서 일부로 인플레이션을 발생 시키기도 하고, 
전쟁 상황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기 위해 화폐 유통을 관리하기도 하는 것을 보며
정치와 경제는 정말 밀접한 관계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에서도 역사상의 흐름과 함께 인플레이션도 함께 진행되어 간다.



4부에서는 인플레이션의 흐름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한다.
그 중에서도 '분산투자'를 하라는 말이 인상 깊었다.
이 분산투자의 원칙은 무척 간단한 원리를 가지고 있는데, 상간관계가 전혀 없거나 음의 상관관계에 있는 두 종목의 주식을 사는 것이다.
장사로 예를 들자면 마치 자외선 차단제와 우산의 관계를 가지므로, 한가지가 망해도 다른 하는 흥하기 때문에 완벽한 적자는 아니라는 이야기이다.
나도 언젠가 돈이 생겨서 투자를 하게 된다면 이 법칙을 꼭 마음 속에 새기리라 다짐했다.

내가 경제에 대해 잘 알지 못해서 그런지 약간은 어려운 책이였다.
하지만 추천 글에서도 이 책은 꼭 세번은 읽어보라고 하는데, 나는 아직 한번 읽었으니 2번, 3번째는 더 잘 이해할 수 있겠지?

경제에 대해, 인플레이션의 흐름에 대해 알고 싶은 분들께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