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신국부론, 중국에 있다
전병서 지음 / 참돌 / 2014년 6월
평점 :
품절


<한국의 신국부론, 중국에 있다>를 읽으면서 영원한 패권 국가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 세상을 읽는 힘, 역사를 바라보고 그 흐름을 잘 읽는 자가 패권의 위상을 거머쥐고 그러한 메카니즘을 잘 파악할 수 있어야 시대의 흐름에 뒤처지지 않는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하여 다시금 알게된다.

지금 세계는 팍스 로마니아, 팍스 브리테니카, 팍스 아메리카를 거쳐 새로운 팍스 차이나의 시대로 향하고 있는 모양새다. 세계가 중국에 주목하고 있는 것도 현재의 중국의 모습을 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듯싶다.

저자는 단언적으로 한국의 부와 미래가 중국에 달려 있다고 한다. 중국의 그 숫자조차도 파악하기 힘든 많은 인구와 그들의 경제성장의 속도가 거의 빛의 속도로 진화하고 있는 것을 볼 때 그들의 향후 잠재 성장 가능성은 더욱 예측을 불허하고 있다.

경제와 금융, 그리고 중국의 전문가로서 저자는 중국을 자기부상열차와 같다고 표현하고 있다. 그의 저술 또한 그런 중국에 대한 발전 속도와 규모에 대한 두려움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만큼 중국경제가 세계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해 무시할 수 없음을 이 책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이 책은 그 동안 역사적으로 패권을 쥐었던 나라들의 시대적 상황과 몰락을 설명하면서 현재 미국이 4번째 패권국으로서 어떠한 기로에 서있는지 분석을 통하여 독자의 이해를 잘 돕고 있다.

금융과 경제, 군사력, 사회 도덕적 측면 등에서 바라본 4대 패권국 미국의 팍스 아메리카로서의 수명의 변곡점을 분석해 놓은 점이 주목할 만하다.

자동차는 만들지 못하지만 우주선을 먼저 쏘아올린 중국은 향후 20년 패권국의 지위를 차지하기 위한 발걸음을 여러 분야에서 쉼 없이 진행시키고 있다.

미국이 그동안 기축통화의 지위를 이용해 누려왔던 강대국의 위상이 이제는 그것의 역효과를 통한 금융위기를 촉발시켰고 잦은 금융의 위기가 거대 강대국의 패권을 위협하고 있는 형국이 되어가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써 아시아에 금융이 집중되는 형국이 되었고 중국이 그 중심에 서있음을 보여준다.

중국이 금융에서의 강대국을 꿈꾸면서 세계의 패권화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도 성장하는 중국에 힘입어 한 층 더 성장하는 절호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요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전제로 어떻게 하면 한국이 중국의 저력을 이용하여 새로운 국부를 창출할 것인가에 대한 분석과 전략들이 후반에 담겨져 있다.

중국의 현실을 제대로 보고 알아야 한국이 그러한 기회들을 최대한 잘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자들에게 향후 아시아, 나아가서 세계경제에 대한 흐름과 안목을 넓혀주는 역할을 충분히 제공해주는 책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