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카루스 이야기
세스 고딘 지음, 박세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전’, ‘창의’, ‘변화’....급변하는 현대시대에 너무나도 많이 듣는 이야기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이 시대적 화두 앞에서 도대체 무엇이 우리로 하여금 세스 고딘이 말하는 안락지대에만 머물게 하는가..

안락지대에서 벗어나 안전지대를 더 넓히는 것, 그것이 그가 말하는 생각을 깨우는 힘이며 변화를 일으키는 것의 결과물이라 이해된다.

이 책은 자신의 한계를 알고 있었지만 아버지의 경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끝없이 태양 가까이까지 이르렀다가 밀랍이 녹으면서 바다에 추락해 죽게 된 ‘이카루스’에 빗대어 안전한 안전지대에 머무를 것인가, 아니면 설령 추락하더라도 더 높이 날아오르기를 도전하는 것이 옳은가를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세스 고딘은 이전에 우리사회가 안전지대에 머무르면서 사회의 각종 구조적 틀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것이 당위적인 일이었다면, 현재 시대는 변화와 도전, 창의로 대변되는 ‘아티스트’가 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아트’, ‘아티스트’는 평범해서는 될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뜨거운 열정과 감수성, 그리고 노동이 필요한 작업이요, 비전과 용기를 가진 자만이 누릴 수 있는 수식어인 것이다.

이 책은 우리가 어떻게 아티스트의 길에 이를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다. 고정관념의 틀을 깨고 새로운 시각을 가짐으로 변화의 길을 이끌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하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아티스트의 길은 멀고 험난하다고 세스 고딘은 말하고 있다. 이 책에는 그 힘든 고난의 길을 통과하여 아트를 이룬 이들의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그들이 진정한 아티스트가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그들은 어떻게 통념의 틀을 깰 수 있었는지 들을 수 있다.

나도 모르게 내 의지와 상관없는 사회구조에 의해 세뇌당한 나의 뇌는 그 틀을 깨지 않고서는 결코 더 높이 날아오를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모든 나의 업적은 수많은 사람들의 무시와 비난 속에서 이루어졌다. 그렇다면 왜 그런 평범한 사람들과 같이 살아가야 하는가?, 최고를 따라야 하지 않겠는가?’ 어떤 책에서 보았던 내용이다. 세스 고딘은 ‘이카루스 이야기’에서 스티브잡스, 헨리포드, 마틴 루터 킹과 같은 인물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진정한 아티스트였던 이들 역시 많은 이들의 비난과 조롱 속에서 그들의 업적을 이룬 인물들이며 통념을 거부하고 새로운 시각을 통해 역사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이유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레이먼드 조의 ‘관계의 힘’은 한국경제신문에서 출판한 또 하나의 새로운 나를 발견하는 역작이다. ‘신’이라는 주인공이 조직 내에서 겪게 되는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스토리 텔링 방식을 통해 성공의 진정한 의미와 행복으로 이끄는 인간관계의 중요성과 힘에 대해 알려준다.

소통이 중요시되는 사회에서 상처받지 않고 서로가 행복해지는 인간관계 맺기에 대해 이 책은 ‘신’의 이야기를 통해 깊은 깨달음을 준다.

자신의 인간관계는 어떤지, 나도 ‘신’과 같이 경쟁의 구도 속에서 인맥에 치우쳐 진정한 인간관계를 잃어버린 것은 아닌지 다시 돌아보는 기회가 되는 책이다.

빛의 속도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세스 고딘의 ‘이카루스 이야기’는 우리에게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안전지대를 넓혀감으로 아티스트가 되는 길을 보여주며, 레이먼드 조의 ‘관계의 힘’은 스마트 기기들이 득세하는 시대 속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인간이며, 인간관계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