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으로 읽는 동아시아 삼국지 1 - 한중일 동아시아史를 한 바늘로 꿰어낸 신개념 역사서 옆으로 읽는 동아시아 삼국지 1
이희진 지음 / 동아시아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역사라는 것은 누구의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라고 들었다. 각자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역사가 온전히 옳은 것이라고 보기에는 어렵고 특히, 자국의 역사를 서술할 때는 자칫 자국중심으로 기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의 기술은 민감하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대한의 자민족중심적인 역사관을 배제하고 타자의 입장에서도 수긍할만한 역사를 찾아 읽어볼 수는 없는 것일까? 나는 <옆으로 읽는 동아시아 삼국지>를 통해 단편적인 역사의 부분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흐름, 맥락을 통해서 역사가 어떻게 흘러 전해지는가를 전체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게 되었다.

중국의 역사를 기준으로 하여 한국과 일본의 연대기적 사건과 역사를 수직적이 아닌 수평적 관점에서 기술하였다는 점에서 이 책은 옆으로 읽는 동아시아 삼국지라는 제목이 어울리는 책이다.

동시대에 한, 중, 일 삼국에서는 어떠한 정치체제가 운영되고 있었고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분위기는 어떠했는지를 우리는 지도를 펼쳐놓고 보듯 역사적 사건들을 통하여 비교해 볼 수 있다.

단편적 역사의 사실들에 대한 단순한 연대기적 표기는 우리의 일관적이고 상호관계적인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관을 확립하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안다.

그러한 맥락에서 볼 때 역사를 알고 이해한다는 것은 주변국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생각이다.

저자 역시 그러한 취지에서 최대한 주관적 주장들을 배제하고자 노력하였고 그러기에 이러한 옆으로 읽는 동아시아 삼국지를 펴 낼 수 있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갈수록 현대화가 가속화되고 역사의식이 사라지고 있는 가운데, 동아시아 3국은 자국에게 유리한 쪽으로 역사를 해석하고 왜곡하려는 움직임이 매우 자주 등장하고 있음을 본다. 이러한 현실에서 올바른 역사인식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며, 한, 중, 일 삼국의 역사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구체적인 시대적 상황들을 알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중국은 '동북공정'을 통해 한국인들의 꺼져가는 역사의식을 완전히 잠재우려하고 있으며, 일본은 침울한 역사를 은폐하고 침략국의 야망을 다시금 끄집어내고 있는 형국이다. 이럴 때일수록 본질을 왜곡하는 역사에 우리를 내어주지 않기 위해서라도 많은 이들이 이 책을 읽고 주체적인 역사의식을 가져보길 바라면서 일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