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오어의 미국주식 밸류 리밸런싱 - 레버리지가 아니면 평범한 인생을 바꿀 수 없다
라오어 지음 / 알키 / 2022년 8월
평점 :
경제적 자유로 향하는 레버리지 장기투자 전략
화제의 '월 50만 원으로 10억 만들기' 유튜브 연재 중
저자는 늦깎이대학생이던 어려운 시기에 주식을 시작했습니다. 치대를 다니며 저녁부터 새벽까지 강사로 일하고 번 돈을 아껴 주식에 투자했어요. 코스피가 2000에서 1600, 1500선까지 내려갔지만 저점일 때 분할매수하면 결국엔 수익이 될거라며 버텼습니다. 그러다 리먼브라더스사태(2022년인 지금까지도 역대 기네스 기록 1위의 파산 규모)와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를 겪으며 결국 백기를 들고 말았어요. 큰 돈을 잃은데다 그 뒤로 몇개월- 몇 년 사이 우리 모두가 알다시피 주식이 올랐습니다. 누군가는 그렇게 회복세를 타는 동안, 저자는 빚을 갚느라 고군분투 해야 했어요.

그리고 십여년뒤 저자는 코인을 접하고, 2019년에 미국 주식에 3배 레버리지 ETF가 있단 것을 알게 되고 투자를 하기 시작합니다. 그렇게 인연이 닿은 투자는 전문가들도 말리는 TQQQ 장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필자가 개별 주식이 아닌 SPY나 QQQ 같은 지수추종 ETF를 기반 으로 투자하기로 결심한 이유는, 종목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횡보장을 맞힐 수 없고, 그 시기에 다른 주식이 상승하는 것을 바라보고만 있기가 힘들기 때문"에 "상위 구간에 포진하는 기업을 모두 모아놓은 ETF 투자를 선호"한다고 해요.(p.8)
물론, 젋어서 몸소 비싼 수업료를 지불하며 배운 교훈도 잊지 않고 전합니다.
"아무리 투자를 레버리지로 시도한다고 해도, 자금이 부족할 때는 위험도에 비해 얻는 수익이 너무 적다. 그래서 젊을 때는 자기계발에 대한 노력으로 자신을 레버리지해야 한다. 꼰대스럽게 들리겠지만 아직 초년생에 속한다면 노력을 통해 자신이 종사하는 분야에서 인정받는 것이 가장 빨리 부를 축적하는 길이다. 젊음이 가장 큰 자산일 때는 내 몸을 레버리지 해야 하는 것이다." (p.9)
왜 미국인가.
미국 주식 투자에 관심을 보였다가 "어?"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바로 세금입니다. 저도 여기서 턱 걸렸어요. 열심히 돈벌어서 미국까지 먹여 살려야(?) 하나 생각이 들더라고요. (ㅎㅎ) 저자는 이 고비를 넘어 미국 주식의 문턱에 과감하게 투자하고 있어요. 가장 큰 강점은 세계를 선도하는 기업이 많다는 점입니다. 애플, 테슬라, 아마존... 분야별로 Top 10 아니 Top 5 기업을 뽑아 모아보면 미국 기업이 상당히 많습니다. 투자할 기업이 줄을 서 있습니다.
"최근 러시아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가 인터넷 사용에 어려움을 겪자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는 인공위성 스타링크를 통해 우크라이나 전역에 인터넷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처럼 이제 미국기업은 단순히 기업체가 아니며, 한 나라의 시스템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 미국의 패권 지위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길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들이다."
p.60
또 미국은 선진국이면서 후진국형 인구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출산율이 감소했지만 적극적인 이민자 수용 덕에 젊은층 인구가 많고 노년으로 갈수록 인구가 적습니다. 이 외에도 셰일가스 혁명, 401k 연금제도, 주주친화적 기업문화 등도 미국 경제를 탄탄하게 뒷받침해주고 있어요.
미국은 주도적으로 금리 정책을 펼칩니다. 자국 내 인플레이션 수치나 고용상황을 고려하여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미국과 달리 타국은 미국을 보며 통화정책을 정합니다. 즉 미국이 금리인하를 해야 금리인하를 할 수 있으며, 미국이 금리인상을 할 때 같이 금리인상을 해야 합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예고되어 있는 상황에서 금리인하를 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는 최근의 튀르키예의 리라화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최근 튀르키예는 미국과 유럽 아시아 등 대부분의 국가가 금리를 인상하고 있는 분위기에서, 경기부양을 위해 금리를 내리는 조치를 단행했다. 그 결과로 튀르키예 리라화의 가치는 급격히 하락하고 있으며, 심지어 애플은 잠시 동안 튀르키예에서 아이폰 판매를 중단하기에 이른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분쟁이 겹치면서 튀르키예는 2022년 3월 소비 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61.14% 상승했으며, 이는 20년 만의 최고치라고 한다. 즉 쉽게 비유하자면 작년에 1만 원 하던 국밥이 올해 16,000원이라는 뜻이다. 잘못된 통화정책은 이처럼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을 국민에게 안겨줄 수 있다.
p.73-75

라오어식 투자는 단기 수익실현을 목표로 하는 무한매수법, 장기 투자를 지향하는 밸류 리밸런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저자의 무한매수법과 밸류 리밸런싱은 매수와 매도가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 정확하게 계획되어 있어 많은 개미 투자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투자 과정을 유튜브에 정기적으로 올리고 있고 네이버 카페 회원도 수만 명 이 넘는데 카페에서 정보를 공유하며 밸류 리밸런싱 투자를 함께하고 있다고 해요.
<라오어의 미국주식 밸류 리밸런싱>은 단투하는 요령, 장투하면서 목돈을 넣고 빼는 팁같은 중요하지만 배우기 어려운 것들은 물론 직접 본인의 투자 스타일대로 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들도 제시합니다. 미국 주식에 관심있는 도전적 투자자분들께 추천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