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인들을 위한 진리 탐구 - 우주물리학과 불교가 서로를 알아가는 대화
오구리 히로시.사사키 시즈카 지음, 곽범신 옮김 / 덴스토리(Denstory)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책표지를 보고는...

우주복을 입고 가부좌를 틀고 앉아있는 모습...무언가 이질적인 듯하니 빨리 읽어보자...

이 책은 물리학자와 불교학자의 토크쇼라고 정의할 수 있다.

불교라는 종교에는 신이 등장하지 않는다...석가는 신이 아니라 성자였기 때문에...

오히려 과학과 충돌하는 부분이 많지 않는다는 지극히 개인적인 주관을 가지고 읽기 시작한 책...

책은 두껍지 않지만 쉽게 읽혀지지는 않는다.

몇 장을 읽고서는 명상을 하듯 생각하는 시간을 갖고 다시 읽고 또 쉬고하면서 넘어가는 책이라고 할까?


우주는 나를 중심으로 돌아가지 않는다....그런데 책표지의 우주인에 나를 지구인 대표로 대입하게 된다.

무언가 지구 생명체 중에서 나는 갑에 속하는 잘난 존재라는 우월감이 인간에게 깔려있다?

생각을 하는 존재가 인간 밖에 없다는 지독한 편견은 내가 인간이기에 어쩔 수 없는 거 같다.

이 사실을 인식하고 그것을 인정하는 것과 아예 그런 사실을 모르는 체 살아간다는 건...많이 다르다...

 

 

이 책 속에는 뉴턴이나 아인슈타인같은 과학자도 등장하고...

과학적 여러 이론도 등장한다. 그 이론 중에는 과거에는 옳았으나 지금은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과학의 착각?

불교는 계속 진화해왔다고 불교학자는 이야기한다. 그러면 물리학자는 또 과학적 진리 또한 진화해왔다고 한다.

절대 불변의 법칙이 아니라 새로운 사실이 입증되거나 실험을 통해서 관측되어 언제나 진리는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에게는 오감이라는 감각이 있다. 그런데 여기에 '마음'이라는 또 하나의 인식기관을 보태서 육감?

책의 구성이나 내용이 많이 낯설다. 그렇다고 낯설어서 거부감이 강한 건 아니다.

다만 시간을 갖고 한 문장을 읽고는 생각하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올바른 가치관이나 세상을 보는 눈 등에 대해서 곰곰~

그러니 시간을 많이 많이 두고 읽어야 하는 책이다.


신이 있는 종교는 과학과 많이 충돌하는 데...

이 책은 신이 등장하지 않기에 오히려 대립되기 보다는 두 분야가 많이 닮았다고 느끼게 한다.

다른 종교에서 약간의 눈총을 받지 않을까 염려도 되지만, 두 분야의 조합을 다룬 책은 무척 신선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