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50초 셀프 토크 - 아들러 심리학의 행복 실천법
오히라 노부타카 지음, 이정환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6년 2월
평점 :
품절


하루 50초 셀프토크(오히라 노부타카)

살아가면서 심리학에 근거한 수많은 자기계발서나 성공학 관련 서적을 접하고, 교육, 훈련도 받고 있으면서도 대부분은 획기적인 자기계발이나 성공을 하지 못하고, 또 새로운 자기계발서나 성공학 관련 서적을 찾는 것을 반복하고 있다. 그렇지만 세상이 그렇듯이 혁신적으로 자기계발에 성공하는 사람은 늘 소수이다. 그 이유는 자명하다. 결국 행동하느냐의 여부일 것이다. 그만큼 행동으로 실천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어떻게 행동으로 이끌어낼 것인가 하는 유인의 문제를 작가는 ‘욕망’에서 풀어내고 있다. 욕망을 따르게 되면 욕망을 만들어낸 비전도 함께 따라오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자신의 진정한 욕망을 솔직하게 받아들이면 누구나 가슴이 설레고 의욕이 끓어오른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머리로만 생각하고 무리해서 행동했던 형태가 인생을 즐기면서 행동할 수 있는 형태로 바뀐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행동 이노베이션이라고 작가는 말하며, 평범한 샐러리맨에 불과했던 작가가 코칭전문가로 성공하게 된 사례로서 직접 설명하고 있다.

작가는 아들러의 행동심리학에 근거하여 행동 이노베이션을 설명하고 있다. 즉 ‘원인론’에 치우쳐 ‘왜 안 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하는 프로이트 심리학적 접근으로는 결국 과거의 ‘트라우마’라는 굴레에서 얽매여 결코 행동할 수 없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다고 하며, ‘어떻게 하면 지금보다 좀 더 잘 할 수 있을까?’ 를 생각하는 목적론에 근거하여 접근하여야 한다. 즉 프로이트는 과거에 어떤 트투라우마가 있어 그 트라우마를 극복하지 못하는 한 무엇을 해도 제대로 해낼 수 없다고 말하는 반면, 아들러는 트라우마 따위는 존재하지 않으며 정말로 일을 제대로 해내고 싶다면, 목적을 분명하게 정해야 하며, 왜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가가 아니라 어떤 목적을 이루고 싶은 것인가, 어떻게 하면 지금보다 일이 더 잘 진행될 것인가에만 의식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한다. 아들러가 말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인생의 의미는 없고, 인생의 의미는 당신이 자신에게 스스로 부여하는 것’이라고 한다.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취침 전후의 아침과 저녁에 자신에게 50초 동안 물어보고 10초동안 이를 실천하라는 것이며, 1년에 12시간만 투자함으로써 작은 한 걸음, 한 걸음이 쌓이면 이윽고 커다란 변화가 발생하고 결국 엄청난 성과와 연결된다. ‘사실은 무엇을 하고 싶은가?’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에 근거한 물음을 자신에게 50초 동안 매일 반복하여 물어보면 결국 자신이 원하는 대답을 발견하게 되고, 그 대답은 행동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의무감이 아니라 ‘행동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적극적인 대답이며, 지금 당장 자연스럽게 실행하고 싶어지는 대답이다. 이어서 ‘10초 액션’은 욕망을 실천하기 위한 행동으로 작지만 메모를 한다던가, 자신에게 박수를 치거나, 소리 내여 웃거나, 달력에 일정을 적거나, 읽을 책을 가방에 넣는 등의 액션을 하는 것이다. ‘50초의 셀프 토크’ 이후 뇌가 설렘으로 가득 차있는 상태에서의 ‘10초 액선’은 위력적이고 효과적이라고 한다. 1분행동 이노베이션이 취침전후에 가장 위력을 발휘하는 이유는 아침에 일어나서 실행하면 그 기분을 하루 종일 유지할 수 있고, 잠들기 전에 하면 우리의 뇌는 잠들기 직전의 생각을 반복적으로 재생하기 때문이며, 우리가 잠들어 있는 동안에도 뇌는 행동 이노베이션을 위한 준비를 한다.

작가는 아들러심리학의 기틀을 이루고 있는 ‘욕망’과 ‘행동’을 주제로 그것을 실행활에 응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체계적,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고. 작은 한 걸음이 결국 큰 변화와 성공을 이룰수 있도록 조언하고 있다. 그것으로 끝이다. 결국 실천은 독자의 몫이다. 실천은 늘 지루하고 각종 변명을 불러일으키는 힘겨운 싸움으로 연결된다. 하지만 작은 실천들이 습관이 되면 결국 산도 움직일 수 있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