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갈 용기 - 자유롭고 행복해질 용기를 부르는 아들러의 생로병사 심리학
기시미 이치로 지음, 노만수 옮김 / 에쎄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늙어갈 용기

-자유롭고 행복해질 용기를 부르는 아들러의 생로병사 심리학

수차례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 온 작가의 이력이 특이하고, 이 책은 아들러의 생로병사 심리학을 연구한 작가의 글이라는 것을 책 전반에 걸쳐서 나타내고 있다. 작가의 특이한 경험과 아들러의 심리학과의 특이한 교감이 운명적 연결체처럼 느껴진다.

늙어가는 것은 용기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그냥 받아들이는 것이고, 그것도 아주 담담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자연의 섭리인데 왜 작가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하는 것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면서 책을 접했고, 또한 “아름다운 삶, 사랑 그리고 마무리”의 헬렌 니어링과 자연스럽게 비교하면서 책을 들었다.

아들러는 직면한 인생의 과제를 회피하기 위해 자신에게 유리하게 현실을 해석하고 그렇게 현실을 받아들이면 확실히 마음은 편할지 모르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고 한다. 자신이 문제 해결을 위해 움직여야 하고 움직이기 위해서는 인생의 과제에 부딪히고 그것과 ‘대화할 용기’가 필요하다. ‘대화’의 본래 뜻은 ‘로고스를 주고 받는다’이다. ‘로고스’는 ‘말’이고 ‘이성’이라는 뜻도 있다. 사고는 자기 자신을 상대로 행하는 토론이며, 그것이 외화된 형태가 대화다. 한편으로 사고는 영혼이 자기 자신을 상대로 소리를 내지 않고 행하는 대화라고 한다(플라톤, 소피트테스). 대화에서는 ‘누구’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무엇’이 문제가되어야 한다. 비판을 할 거면 생각 자체를 비판해야지 사람을 비판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어떤 사람이 자신의 생각을 표명했는데 내용이 어떻든 무조건 반대한다면 처음부터 대화는 이뤄지지 않는다. 타자에 대하여는 대화할 용기가 필요한데 대화 성립의 조건을 ‘지식, 호의, 솔직함’이라고 한다.

대화 중에 간격을 적절하게 유지하지 못하거나 타이밍이 어긋나는 이유는 의미 내용만으로 상대방의 이야기를 이해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신체기관은 문제가 생기면 스스로의 생존 능력을 배가시킨다. 아들러는 말한다. “정신은 늘 열등감 등으로 생기는 과로운 감정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다. 보상을 추구하는 정신의 메카니즘은 신체세계에서도 똑같이 볼 수 있다.” 늙어간다는 것은 곧 아픔과 더 자주 대면해야 하는 것이고, 아프다는 것은 곧 늙어간다는 신호다. 정신은 고통스러운 감정을 극복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고 보상을 추구하는 정신의 메카니즘은 신체의 세계에서도 똑같다고 아들러는 말한다. 아들러의 ‘생로병사 심리학’의 핵심 전제는 두가지다. 첫째, 인간은 이 세상을 자신이 스스로 의미를 부여한 관점으로 살아가고 있다는 인지론이다. 둘째, 인생의 과제가 ‘어디에서’ 생겨났는지를 문제삼는 ‘원인론’이 아니라 ‘어디로’ 향해 가는가를 중시하는 ‘목적론’이다. ‘어디에서(원인)’이 아니라 ‘어디로(목적)를 물어야 한다고 아들러는 강조한다. ’불안‘도 마찬가지로 목적이 있다고 한다. 사실은 불안(원인)하기 때문에 인생의 여러 과제에 몰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인생의 숱한 과제에 진지하게 몰두하지 않기 위해서(혹은 회피하기 위해서) 불안이라는 감정을 우러나고 있다는 것이다. 아들러의 심리학의 주지대로 불행을 극복하는 용기와 인내력을 갖고 과거가 아닌 미래로 눈을 돌려 미래를 향한 물음을 던져야 한다고 했다. 병은 몸말에 관한 문제 즉 자신과 신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인 것이다.

나이 듦을 ‘행위의 차원’이 아니라 이른바 ‘존재의 차원’에서 인정하는 것, 부모가 어떤 상태에 있어도 ‘살아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싶어한다. 죽음에 대하여는 책임질 용기가 필요하며, 결국 마지막으로 작가가 주장하는 결론은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하여는 행복해질 용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생로병사에 대한 아들러의 심리학을 작가의 경험에 녹여서 어떤 때는 철학적으로 어떤 때는 아주 현실적으로 풀어내고 있다. 다만 헬렌 니어링의 책을 읽었던 기억처럼 마음 속 깊이 기대하였던 감동의 물결이 오기 보다는 생노병사에 대하여 조금 진지하게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본다. 누구나 피할 수 없는 생로병사이지만 점점 이 문제에 대하여 진지하게 다가가는 것은 자식이 크는 만큼 나도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을 더욱 절실히 느끼며 자조한다. 그러면서 결국 작가가 주장하는 결론처럼 나 자신을 위해 행복해질 용기를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