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 그런 나는 없다
홍창성 지음 / 김영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교의 무아에 관심 있는 분에게 입문서로 권하고 싶은 책.


교주나 경전의 권위를 등에 업고 부처님 말씀이니 믿어라하지 않고,

차근차근 개념과 문장을 따져 가는 서양철학의 논법으로 풀이해서 좋았다.


일부 매끄럽지 않게 느껴지는 예시가 있었는데,

더 쉬운 예와 정교한 논법을 구사하면 불교 입문자는 물론

인문학에 관심 있는 모두에게 더 이해하기 쉽지 않을까 한다.

 

예를 들어 다른 분도 전체와 부분의 문제를 언급한 걸 봤는데,

2천년 전 <밀린다팡하(나선비구경)>에도 나오는 

예시와 논법을 응용한 것으로 보인다.

무아 개념을 설명하는 좋은 예로 오랫동안 언급된 내용이지만,

책상의 부분과 전체라는 얘기로 바꿔 예시를 들었을 뿐인데도

오해나 다른 해석이 나오는 걸 보면, 철학이란 논리뿐만 아니라

예시의 선정과 그 나열에도 세심함이 필요한 작업인 것 같다.

 

머리털이 어디까지 빠져야 대머리인가 하는 예시라든지,

햄버거를 먹는 사람에 대한 노스님의 인식에 대한 예시도 그렇다.

대머리보다는 고전적인 테세우스의 배를 예로 들면 더 나았을 것도 같은데...

역시 일상적인 예를 들면서 약간 의아한 부분이 생긴 것 같다.

대머리는 대략 어디쯤부터 대머리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

 

딴지를 걸려면 테세우스의 배제논의 역설같이 

역사적으로 유명한 이야기는 물론이고

이 책에서 쉽게 풀어쓴 중론의 논법, 비재귀성의 논법 같은 것도

그저 생각의 오류거나 말장난으로 오해받기 쉬울 것이다.

기존과는 전혀 다른 관점에서 문제를 보게 하는 파격과 색다른 증명 과정,

그로 인해 도달하는 또 다른 시선과 깊이, 태도가 철학의 매력이 아닐까 싶다.

 

무슨 경이니 무슨 논이니 하는 ..  

전문가만 알아들을 어려운 경론을 방패 삼아 들먹이지 않고,

동서양의 다양한 책에 나오는 무아관련 논법과 이야기들을 통해

불교의 무아설을 불교만의 논리에 갇히지 않고

예쁘장한 작은 책 한 권에 알기 쉽게 정리했다는 점에서,

현대적인 접근과 간결한 정리를 하려 노력했다는 점에서 일독을 권한다.


내가 비록 다섯 가지 부분의 묶음이고, 전체로서의 나는 궁극적으로 허구에 불과하지만(진제), 이 허구는 아주 쓸모 있는 허구이다(속제). 그래서 나는 아뜨만이나 영혼을 가지고 상주하지는 않지만(상주론 배격), 쓸모 있는 허구로는 약 80여 년 동안 묘하게 잘 살아 간다(단멸론 배격). 중도中道에 있는 나의 존재는 쓸모 있는 허구이다. - P1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