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랑의 달
나기라 유 지음, 정수윤 옮김 / 은행나무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소설에서는 다양한 인간 군상과 관계가 좀 더 치밀하게 세분화되어 있다는 생각을 종종 한다. 유랑의 달에 등장하는 인물과 관계 역시 그렇다. 다소 충격적이면서도 신선하고 따스하기까지 하다. 컴플렉스를 로리콘이라는 성적 취향 아래 숨겨 버린 남자 사에키 후미, 어릴 적 트라우마를 입 밖으로 차마 내뱉지 못해 세상에서 고립된 여자 가나이 사라사. 둘은 공식적으로 소아 성애자 유괴 사건의 가해자와 피해자다. 어느 누구도 진실을 들으려고도, 이해하려고도 하지 않는다. 후미와 사라사는 그렇게 세상의 편견으로 인해 소외되고 상처받은 채 유랑하듯 세상을 떠돈다. 서로가 서로만을 이해하고 보듬으며.

우리는 사회가 규정한 규정과 편견으로 얼마나 많은 진실을 외면하고 있는지. 그저 보고 싶은대로, 듣고 싶은대로 편하게 세상을 보고 있지는 않은지. 후미와 사라사는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였을 뿐 가해자와 피해자가 아니었다. 정작 가해자는 따로 있는데 세상 누구도 이들의 말을 들으려 하지도, 진짜 가해자를 찾으려 하지도 않았다. 가까운 주변 인물들조차 위로와 배려라는  허울 좋은 핑계 아래 사리사욕을 채웠다. 남의 일이라고 쉽게 떠벌리며 상처를 입혔다. 나 역시 그럴지도 모른다. 직전에 읽은 <진실의 흑역사>와 묘하게 연결되어 진실과 거짓에 대한 생각을 한다.

리카의 표현을 빌려, 찐사랑이란 무엇일까. 후미와 사라사의 관계는 보편적 관념에 따라 사랑하는 남녀관계는 아니다. 하지만 그들은 분명 어느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굳이 이해하려 하지 않아도 어떤 말이나 행동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는 관계, 모든 것을 드러내도 그냥 서로에게 편안한 관계. 후미와 사라사를 보자면 이런 관계가 롱런할 수 있는 사랑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굳이 모든 남녀 관계를 사랑으로 정의해야 한다면 말이다.

소설을 읽는 동안 추운 겨울 뜨끈한 아랫 목에서 담요를 뒤집어 쓰고 시원한 아이스크림을 먹는 기분이었다. 전체적으로 소아 성애 = 로리콘이라는 말이 너무 쉽게 자주 언급되어 불편한 감이 없었다면 거짓말이겠지만, 후미가 로리콘이라 손가락질 받아도 변명하지 않았던 이유를 알게 되는 순간 불편함이 아픔으로 변하며 소설 전체를 따스하게 만들어주었다. 더불어 난 이렇게 생각할 거리들을 던져 주는 소설이 좋다.

🏷세상 사람들이 바라보는 혐오의 눈빛은 피해자에게도 해당되는 것임을 알고 아연했다. 위로나 배려라는 선의의 형태로 ‘상처 입은 불쌍한 여자아이’라는 도장을, 내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쾅쾅 찍어댄다. 다들 자기가 상냥하다고 생각한다 - p.84

🏷요즘 시대에 특별히 귀한 것은 별로 없다. 사람이 살해당하는 장면도 검색하면 쉬이 볼 수 있다. 미성년이라고 해서 달라지는 건 없다. 선량한 사람들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라면 그 어떤 비극도 뼛속까지 발라내진다 - p.100

🏷나는 후미를 좋아한다. 그 여자와 함께 있는 걸 보았을 때, 소중한 무언가를 잃어버린 기분이 들었다. 하지만 그건 사랑이니 연애니, 그런 이름을 붙일 만한 것은 아니다. 굳이 비유하자면, 성역이라는 단어에 가장 가깝다 - p.152

🏷우리는 부모도 아니고, 부부도 아니고, 애인도 아니고, 친구라고 하기도 어렵다. 우리 사이에는 말로 다 규정할 수 없는 무언가가 있지만, 무엇으로도 우리를 단정 지을 수 없다. 그저 따로따로 혼자 지내며, 그러나 그것이 서로를 무척 가깝게 느끼게 한다 - p.283

🏷나와 후미의 관계를 표현할 적당한 말, 세상이 납득할 말은 없다. 거꾸로 같이 있어서는 안 되는 이유는 산더미처럼 많다. 우리가 이상한 걸까. 그 판단은, 부디 우리 말고 다른 사람들이 하기 바란다. 우리는, 이미 거기 없으니 - p.3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