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개정증보 2판) - 복잡한 세상 명쾌한 과학
정재승 지음 / 어크로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래식계에 정명훈 마에스트로가 있다면, 과학계에는 정재승이 있다! 공연을 자주 보는 나는 리사이틀 보다는 오케스트라나 협연을, 솔로 싱어보다는 중창이나 합창을 더 좋아한다. 공연마다 각기 다른 매력이 있지만, 다양한 악기나 사람의 목소리가 어우러져 하모니를 이룰 때의 감동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온몸에 오소소 소름이 돋고 머리카락이 쭈뼛 서며 입꼬리가 절로 올라가는 그 느낌! 코로나 어택으로 수 십명의 연주자가 함께하는 오케스트라 공연은 언제 볼 수 있을지 요원한 가운데, 방구석 1열에서 과학과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미학, 의학이 만나 이루어 낸 감동적인 지식의 교향악을 만났다.

오케스트라 공연에서 지휘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같은 곡, 같은 오케스트라여도 누가 지휘하느냐에 따라 그 날 공연의 성패가 갈린다. 알쓸신잡에서 넘사벽의 지식을 조곤조곤 논리적이고 재치있게 풀어내는 입담으로 감동을 준 정마에님은 이 책에서도 대중의 흥미를 불러 일으킬 만한 복잡한 사회 현상들을 물리학 뿐 아니라 다양한 학문의 지식을 자유자재로 지휘하며 성공적인 공연을 만들어 주었다. 한 꼭지를 정리하는 마지막 부분에는 늘 우리 사회와 인간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담겨 있어 때로 뭉클하기까지 했다. 평생 불황인 출판업계에서 20년째 롱런하는 과학 교양서라니 이유가 있다.

특히, 나에게는 현대 미술, 아프리카 문화, 음악, 언어, 심장 박동에 이르기까지 나타나는 프랙털 현상을 다룬 2장이 가장 흥미로웠다. 잭슨 플록의 그림, 아프리카 전통 가옥의 구조, 클래식과 대중 음악, 심장 박동 등 전혀 관련이 없을 것 같은 것들이 하나의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니, 복잡한 세상도 이해할 만하다는 메세지가 단숨에 전달되었다고나 할까. 고등학교 때 화학과 생물이 선택하면서, 물리는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인 학문이었다. 그러나 이 복잡한 네트워크 세상에서 물리학이 일상 곳곳에서 우리의 삶과 연결되어 있음을 보니 조금은 친근해 진 기분이다.

클래식 공연을 보고 나면 가장 좋았던 곡과 작곡가에 대해 다시 한 번 알아보고, 다른 연주자의 연주도 찾아 듣고 비교하면서 여운을 즐긴다. 이 책은 중고등학생들이 읽는 교양서인 줄 알았는데, 성인이 읽기에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많다). 어떤 경로로든 조금씩 더 지식을 쌓고 여운을 즐기다 보면 어느 날 이 지식의 교향악을 좀 더 제대로 들을 수 있는 시기가 있을거라 생각한다. 갑자기 머피의 법칙이 속출하는 날, 교통 체증에 짜증이 치미는 날, 레스토랑 소음에 머리가 지끈거리는 날. 이 책을 다시 한 번 들춰보면 머리 속이 맑아지고 기분이 정화될 것 같다. 어쨌든 지금은 복잡한 세상에 관한 과학자들의 긴 연주에 “브라비”와 함께 격렬한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