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비밀과 거짓말 - 서양 음악사의 잃어버린 순간들
유윤종 지음 / 을유문화사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은 클래식을 듣는데 필수 불가결이다.
어떤 곡을 한 번 듣고 좋다 좋지 않다를 평하는 직관은 통하지 않는다. ‘아는’ 대상은 곡의 해설일수도, 악보일수도, 곡의 배경일수도 있다.

<클래식, 비밀과 거짓말>은 클래식 클라우드 푸치니 편을 쓰신 유윤종 작가님이 서양음악사에 잃어버린 순간들이라는 부제를 달고 엮은 클래식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이다.

차이코프스키의 비창 등 명곡에 담긴 뒷 이야기부터 모차르트와 살리에르 같은 위대한 작곡가와 그 주변 인물의 이야기, 히틀러와 브루크너 등 역사를 관통하는 음악 이야기를 알차고 흥미진진하게 풀어냈다. 전공자는 아니지만 어릴 적부터 클래식 음악을 놀이 삼아 살아 오셨다던 작가님의 풍부한 배경 지식과 음악에 대한 애정과 진지한 사유에 감동하지 않을 수 없었다. 유튜브에서 곡을 찾아 들으면서 이야기를 읽다보면 어느 새 영화 아마데우스의 장면들처럼 그 시대를, 역사 속을 공유하는 기분이 들었다.

고전 문학의 세계만큼이나 무한한 세계가 바로 클래식 음악의 세계이다. 이 책은 클래식 음악이 고루하다 멀다 느끼는 사람들에게 클래식 음악과 친해질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톡톡히 해 줄 것이라 생각한다.
———

대가들이 남긴 아름다운 작품을 듣고 거기에 매료될수록 우리는 그들의 삶에 다 가까이 다가가고자 하는 욕망을 품는다. ‘이렇게 영혼을 격동시키는 선율을 쓴 사람의 일상은 어땠을까? 이 작곡가가 가진 꿈은 어떤 것이었으며, 그의 성취와 좌절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 작가의 말 p.6.

차이콥스키의 죽음이 콜레라에 의한 우연한 일일지라도, 그 자신이 언제 죽음이 다가올 것인지를 알 수 없었다고 가정하더라도, [비창]은 차이콥스키가 그 자신의 염세적 세계관과 개인적 슬픔을 집약해 쏟아 넣은 ‘음악적 유서’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점이다 - p.29

위대한 작품은 그 배경에 대한 지식과 함께 올바르게 수용되는 것이다. 감상자는 악보의 해석과정에서 들리는 음악 뿐 아니라 그 성립 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까지 함께 수용할 권리가 있다. 그것이 온전한 감상이다 - p.54

여러 명곡으로 거듭 재해석된 텍스트로는 특히 독일이 자랑하는 고전주의 대문호 괴테의 작품이 많아 흥미롭다. 음악사상의 낭만주의 시대인 19세기를 관통하는 괴테의 거대한 영향력을 입증하는 것이자, 읽는 사람에 따라 다양하데 해석되는 괴테 문학의 성격을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다. - p.181

‘독일 방송에서 곧 모종의 발표가 있겠다며 안톤 브루크너의 교향곡 7번 2악장을 내보내고 있다. 이 악장은 브루크너아 리하르트 바그너의 죽음을 추모하며 쓴 것이다. 바그너는 히틀러가 경모했던 작곡가이기도 하다. 이런 장황으로 볼 때 히틀러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p.235


#클래식비밀과거짓말#유윤종#음악에세이#에세이#클래식#음악사#서양음악사#명곡#고전음악#에피소드#음악기자#책읽는계절#에세이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