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레논의 말
켄 로런스 지음, 이승열 옮김 / arte(아르테)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존 레논. 비틀즈의 멤버라는 것 외에 내가 아는 것이 있었던가? 없다. 관심조차 없었다.
말은 사람의 마음을 비추는 거울이니 존 레논이 했던 말을 보면 존 레논이 어떤 사람이었는지 알 수 있지 않을까? 새로운 친구를 사귄다는 기분으로 읽어본 [존 레논의 말].
-
우선 서문에 special thanks to를 보낸다.
존 레논의 일생에 대해, 존 레논이라는 사람에 대해 아주 잘 축약 설명해 주어 존 레논의 단편적인 말들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
영문 철자에 유사한 철자가 많아선지 존 레논이라 하면 ‘레전드’라는 말이 떠오른다. 옛말에 이름을 잘 지어야 한다 했던가. 억지일지 몰라도 존 레논은 세계적인 레전드가 되었다.
-
존 레논의 말은 대체로 거침없고, 재치있으면서도 뼈가 있다.
사람들은 그가 음악가이자 철학가이자 평화운동가였다고 말하며 실제로 타이틀에 걸맞는 다양한 활동을 하고 유명세 만큼이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음악을 만들고, 영화를 만들고, 반전 운동을 하고 심지어 책도 썼다.
-

허나, 마냥 대단한 사람으로 추앙하기에 존 레논의 사생활은 몹시 불편하다.
어린 시절 한 때의 불장난으로 아이가 생겨 결혼을 했으나, 결혼 생활 중에도 공공연하게 요코 오노와 딴살림을 차렸다. 마약 중독으로 첫 결혼 생활은 파탄이 났고 결국 오노 요코와 재혼을 했다.
오노 요코와의 사이에도 아이가 태어났고, 존 레논은 공개적으로 두 번째 아이를 편애한다는 인터뷰를 한다.
이 세상의 평화를 부르짖는 사람이 자신의 가정의 평화는 무시했다. 아이러니하다.
-
전세계를 뒤흔든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퀸에 대한 추억도 없지만, 프레디 머큐리의 극도의 이기주의적인 말과 행동들 때문에 영화를 보는 내내 불편했다. 마지막 에이즈 라이브 공연을 보기 위해 치밀어 오르는 짜증을 견뎌야했다.

공공연하게 바람을 피우고, 공개적으로 나중에 나은 아들을 편애한다 말하고, 마약을 하고.
높은 예술성과 공인이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으로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고 피해를 주는 행동들을 묵인할 수 있는가?. 예술적으로 뛰어나지만 사생활은 지저분하기 짝이 없었던 두 사람의 모습이 겹쳐진다.
-

이 책을 읽고 존 레논이라는 친구에 대해 얕게나마 알게 되었지만 결국 친해지는데는 실패했다.
-

과거로 회귀하는 경향이 짙어지는 요즘.
비틀즈의 예스터데이뿐 아니라 기둥과 같았던 존 레논에 대해 궁금하다면 읽어보는 것도 좋겠다.
어여쁜 일러스트와 함께 말이 나온 배경도 함께 적혀 있어 어렵지 않게 존 레논을 상상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