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쇄살인범의 고백 - 법의학자가 들려주는 살인 조서 이야기
마크 베네케 지음, 송소민 옮김 / 알마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범인을 검거하는 CSI를 다룬 드라마를 통해 법의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저자가 법의학자라는 점에서 이 책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 <연쇄살인범의 고백>은 제목에서 느껴지는 연쇄살인범의 고백이라기 보다는 저자이자 법의학자인 마르크 베네케에 의한, 말그대로 '법의학자가 들려주는 살인 조서이야기'로, 있는 사실을 그대로 전달하는 보고서에 가까운 책이라는 점에서 '연쇄살인범'을 소재로 한 드라마나 영화와 같은 전개와 긴박함을 느끼고자 이 책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아쉬움을 느끼게 해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세상을 놀라게 했던 연쇄살인범들의 인면수심의 행각들에 대한 이야기를 시각적인 자료와 함께 전문적인 그의 학식을 통해서 들을 수 있다는 점은 새로웠고 이 잔혹한 연쇄살인범들이 그저 영화나 드라마에서만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상기하면서 그 심각성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는 시간이었다.
'연쇄살인'
빈번하지는 않지만 세계 곳곳에서 실제로 일어났고 현재도 일어나고 있는,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비인륜적인, 인간의 잔인함을 보여주는 참혹한 사건들. 그에 대한 공포와 경각심을 가지면서도 딴 세상의 일마냥 생각하고 있었던 것 같다. 뉴스나 토픽, 영화, 책 등을 통해서 연쇄살인에 대해 접하면서도 인간이 인간에게 해서는 안되는 사악한 짓을 저지르고 있다는 것을 믿고 싶지 않아서일지도 모르겠다. 최근, 온 국민을 경악케 한 연쇄살인범이 검거되고 그의 실체와 사건이 알려지면서 '연쇄살인범'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연쇄살인이 특수한 것만이 아닌, 내 주위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잔인하고 무서운 일이라는 것을 체감했고 평범하기만한 인간이 얼마나 잔혹해질 수 있는지도 느끼게 되었다. 그래서 이 책을 읽는내내 씁쓸함을 감출 수 없었다. 이 책 속에 담긴 수 많은, 잔인한 연쇄살인이 실제로 있었다는 것에...
내가 태어나기 전에 일어난 일부터 시작해 내가 어릴 때 벌어진 연쇄살인 사건들.
몇 몇 사건은 해외토픽이나 또 다른 서적에서도 본 적 있는 사건들이기도 했지만 다시 봐도 충격적이지 않을 수 없다. 막연하게 상상했던 사건들을 여러 자료를 통해 보면서 더 실감이 났고 법의학적인 접근을 통해서 그러한 잔인한 행각들을 벌인 연쇄살인범 또한 탐구해볼 수 있었다. 솔직히 말해, 상상하기도 싫은 끔찍한 일들을 저지르고서도 죄의식을 느끼지 않는 잔악한 연쇄살인범들에게 분노하기도 했다.
인육을 먹는 식인종의 이야기부터 시작해 수 많은 아이들을 유린하고 살해한 성도착자 등 대표적인 연쇄살인 케이스를 나열하고 그것들을 법의학적인 수사로 추리해가는 <연쇄 살인범의 고백>. 영화와 같은, 소설과 같은 전개와 흥미를 바란다면 이 책은 지루하게 느껴질 것이다. 솔직히 나 또한 그런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사건과 법의학적 수사의 정확한 전달에만 치중한 것 같아서 딱딱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고 저자가 말했던 '추리의 세계'에 몰입하며 읽기에는 무리가 있는 책이었다. 물론 소재가 소재인만큼 흥미와 재미를 추구해서는 안되는 것이지만 독자가 좀 더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었더라면 어땠을 까 하는 아쉬움을 가지게 된다.
이 책의 저자 또한 인용한 '밝음을 이해하려는 자는 어둠을 알아야 한다.'는 헤르만 헤세의 말처럼 인간의 잔혹한 어둠의 일면을 엿본 시간이었고 더 이상은 이러한 잔인한 일들이 벌어지지 않길 간절히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