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에게 안부를 묻는 밤 - 세상에서 단 한 사람, 든든한 내 편이던
박애희 지음 / 걷는나무 / 201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엄마에게 안부를 묻는 밤


읽으면서 정말 많이 울었다. 저자가 돌아가신 어머니를 회상하며 함께 해서 기뻤던 일들이나 못해줘서 아쉬웠던 것들, 그때는 몰랐지만 이제는 알 수 있는 어머니의 마음에 대해 써내려간 이 에세이는 마치 나에게 있을 때 잘하라는 충고를 해주는 것만 같았다.



가족과 관련된 에세이를 읽을 때면 왜 그렇게 눈물이 나는지 모르겠다. 치매에 걸린 아버지에 대해 쓴 에세이, 『비가 와도 꽃은 피듯이』를 읽을 때는 이보다 더 울었던 것 같다..



아마 지금 내가 두 분께 따뜻한 말 한 마디 못해드린 것이 너무나도 죄송스럽고, 자식들이 으레 부모님께 하는 크고 작은 잘못과 섭섭하게 해드렸던 일들이 후회스럽기 때문일 것이다.





엄마도 딸이다.


태어나보니 엄마는 처음부터 엄마여서, 우리는 자주 잊는다. 엄마도 딸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엄마도 할머니의 품에서 울고 웃고 잔뜩 투정부리고 귀하게 자랐을 텐데, 나는 너무 무신경하게도 그 당연한 사실을 잊고 살았다.



늘 받아왔으니 당연하게 나는 받는 존재, 엄마는 주는 존재로 생각하게 되었고, 그러다보니 따뜻한 말 한 마디조차 주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나 미운 말들은 기어이 주고야 만다.



엄마도 상처받기 쉬운 사람일 텐데 말이다.





"엄마가 떠나기 꼭 1년 전에 외할머니가 돌아가셨다. 엄마는 발병 후라서 몸이 몹시 좋지 않았다. 그런데도 장례식장에서 문상객들을 맞으며 밤을 새웠다. 그것이 딸의 마지막 도리라며. 할머니의 입관식이 있던 날, 염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엄마는 울지 않았다. 담담한 모습으로 할머니 가시는 길을 끝까지 지켜봤다. 그러다 돌아서서 뒤늦게 나를 발견했다. 엄마는 그제야 눈물을 흘리며 내게 안겼다. 흐느끼는 엄마를 안고서 등을 토닥였다.

엄마를 안으면서 나는 처음으로 내가 참 작다는 생각을 했다. 내가 엄마보다 훨씬 컸으면 더 좋았을 텐데. 그랬다면 내 가여운 엄마를 더 크게 안아 줄 텐데. 그때, 나는 기도했다. 다음 생에는 엄마가 나의 딸로 태어나게 해 달라고. 그래서 꼭, 딸이 된 엄마를, 더 많이 더 크게 따뜻하게 안아 주게 해 달라고." -175p




전하지 못한 말


엄마에게 전하지 못한 말이 많다. 지금 당장 문을 열고 나가서 사랑한다고 말하는 생각을 하면,,, 둘 다 어색해질 것 같다..



이건 아마 시간이 해결해 줄 것이다. 그동안 나는 엄마와 더 많이 웃고, 좋은 것들을 많이 보고 먹으며 둘만의 시간을 가지면 된다. 마치 이제 막 친해진 친구처럼 서로를 알아가고 우정을 쌓으며 베프가 될 그날까지!


#엄마에게안부를묻는밤 #박애희 #공감에세이 #에세이추천 #공감 #위로 #책추천 #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