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임수의 심리학 -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김영헌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KakaoTalk_20181030_052229044.jpg



에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현직 검찰청 수사과장으로 재직 중인 저자가 알려주는속지 않는 법을 담은 책이다멀리서 보면 누가 봐도 사기 같은 제안인데왜 당사자는 그걸 모를까?


속임수는 나이도학력도직업도 가리지 않는다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7년 보이스 피싱 사기 피해자 중 31%는 20~30대였으며 최근 교사의사약사기자 등 고학력 전문직 종사자가 보이스 피싱에 속아 돈을 송금한 사례가 제법 있다.
속임수의 기법에는 공통적으로 
세 가지 심리가 있다바로 욕망신뢰불안만약 우리가 이 세 가지 심리를 이용한 속임수의 기술을 제대로 알고 숙지한다면 수만 종의 사기와 속임수에 절대 걸려들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8p

PART 1
-'좋은 사람‘일수록 잘 속는 세상

‘감정과 의리’가 주로 작용하는 관계가 있다. 가족이나 친구 또는 동료와의 관계다. 이들에게 돈을 빌려줄 때는 어디에 쓸 돈인지, 언제쯤 갚을지 꼬치꼬치 캐묻지 않는 경우가 보통이다. -32p


 이들 중 일부는 평상시 누구 하나 속인 적 없고 착하게 살았는데 왜 세상이 자꾸 자신을 속이는지 모르겠다고 세상을 원망한다. 만약 당신이 깐깐한 사람이라면 어떨까? 주변에서 속이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을 것이다. 돈의 용도나 사용처 등을 자세히 묻고, 계획대로 되지 않았을 경우 어떻게 갚을지 자세한 계획을 이야기해달라고 요구하면 상대는 그냥 물러날 가능성이 높다. -33p


까운 사람을 가장 조심해야 한다는 말은 정말 새겨들어야 하는 말이다내 친척 중에서도 가까운 사람 믿었다가 빚을 떠안은 사람이 있기 때문에.. 

가까운 사람과 돈거래를 하지 말아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돈으로 인해 가까웠던 사이가 채무관계로 변질되고,돈을 빨리 갚지 않을 경우에는 그 사람 얼굴만 봐도 돈이 떠오르기 때문이다(돌려받을 마음이 없었다면 모르겠지만). 더 이상 둘은 우정이나 사랑으로 엮인 관계가 아니라 돈으로 엮인 찝찝한 관계로 남고 마는 것이다.
  

물론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고혼자서는 살 수 없다그러나 의리나 애정을 타인과의 모든 관계모든 상황에 동일하게 적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요즘처럼 어려운 때일수록 분별력을 갖춘 냉철한 의리가 필요하다. (-35p)


PART 2 욕망에 대하여

이 없을수록 더 잘 속는 이유
 
 인간의 행동의 대부분은 욕망과 관련되어 있다. 인간은 지금 당장 채우기 어려운 욕망을 이루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참고 견딘다.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당장의 욕구를 억누르는 것이다. -50p

 욕망에 압도되었을 때 이성적인 선택을 하기란 쉽지 않다. 욕망에 고플 때는 중요한 결정을 하지 않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57p




로는 후회가 잘못된 선택을 부른다.
 
 원래 인간의 뇌는 비교를 좋아한다. 다른 사람과 비교하기도 하고, 과거의 자신과 비교하기도 한다. 비교는 후회라는 생각지도 못한 효과를 낳는다. 후회는 아쉬움과 약간의 불쾌감을 주어 미래에 같은 실수를 하지 않도록 해주는 장치다. -68p

 하지만 후회는 브레이크 역할만 하는 것은 아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반대로 액셀러레이터 역할을 하기도 한다. ‘거의 ~할 뻔했는데’라는 아쉬움은 후회를 브레이크에서 액셀러레이터로 바꾼다. -69p


 속지 않으려면 생각이 아닌 객관적인 ‘사실’에, 주관적인 느낌이 아닌 ‘결과’에 주목해야 한다. 이 사실을 깨달을 때 사기꾼들이 만든 후회라는 액셀러레이터에서 스스로 발을 뗄 수 있다. -70p



PART 2에서 인상 깊었던 말

상대가 나에게 좋은 대상을 소개할 경우 생각해야 할 것은 ‘이유’다. ‘이렇게 좋은 것을 왜 나에게 소개해줬을까?’ 하는 의문을 가져야 한다. 상대의 이해관계에 주목해야 냉철한 판단력을 유지할 수 있다. (-79p)

나에게 호의를 베푸는 사람은 정말 내가 잘됐으면 하는 마음에 좋은 정보를 주는 경우도 있겠지만나에게 그 정보를 줌으로써 자신이 간접적으로 얻는 이익이 있기 때문에 호의를 베푸는 것일지도 모른다. 자신이 누군가에게 호의를 베풀었다는 것에서 얻는 평판이라든지나를 걸친 인맥의 확장이라든지적어도 내가 후에 자신에게도 그런 호의를 베풀어주기를 기대하는 것이 인간의 심리일 것이다누군가 좋은 기회나 사람을 소개해준다고 해서 그것을 덥석 물기보다는그것을 일종의 거래의 개념으로 보고 언젠가는 갚아야 할 돈처럼 여긴다면 후에 곤란한 상황은 덜 생길 것이다


PART 3 신뢰에 대하여

숙해서 고민하지 않는 사람들
 
 신뢰란 무엇일까? 에거드 샤인 MIT 명예교수는 ‘상대방이 나를 이용하지 않거나, 내가 이야기한 정보를 나에게 불리하게 사용하지 않는다고 믿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결국 상대를 신뢰한다는 것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나를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원래 알고 있던 이를 강하게 신뢰하며 낯선 상대에 대해서는 강한 경계심을 보인다. -115p


수함 뒤에 숨은 이해관계를 잡아내라
 
 아는 사람 말이라고 무작정 믿고 따른다면 아이들과 다르지 않다. 세상은 그렇게 순진하지 않다(!). 당신만을 위한 순수한 제안처럼 포장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니 아는 사람 말이라고 경계심을 풀고 무작정 믿기 보다는, 그 뒤에 숨어 있는 그의 이해관계를 한 번쯤 생각해 보자. 그렇지 않으면 아는 사람이 던진 미끼에 더 큰 상처를 입을 수 있다. -127p


PART 4 불안에 대하여

인을 쉽게 조종하는 무기불안
 
 불안의 효과는 다른 사람을 쉽게 조종할 수 있다는 점이다. 히틀러는 제 1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하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등 극도의 불안에 떨고 있는 독일 국민들을 쉽게 조종하고 지배했다. 그는 계속되는 공황과 엄청난 인플레이션의 원인으로 엉뚱하게도 유대인을 지목했다. 독일 국민들은 근거도 없는 그의 이야기를 쉽게 믿고 행동했다. -171p

사람이 불안을 느낄 때는 어딘가 안정된 곳에무리가 있는 곳에 속하고 싶어 하는 심리가 있다고 생각한다독일이 말도 안 되는 독일 민족의 우월성을 내세우면서 유대인을 무참히 학살한 사건은그만큼 독일 국민들의 불안이 극에 달해 있던 것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불안은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 자연스럽게 체득한 감정이지만문명이 있는 지금은 그 감정에 의존하기보다는 적절히 통제하고 다스리는 것이 더 중요한 것 같다.


PART 5 속지 않으려면

KakaoTalk_20181030_052229298.jpg


PART 5에는 세상의 속임수에 나를 지키는 꿀팁이 가득 담겨있다. 어찌 보면 PART 5가 이 책의 핵심 아닐까?

이 책 한 권 읽는다고 속임수를 100% 예방할 수는 없을 것이고, 상대가 작정하고 속인다면 속아 넘어갈 수도 있다. 하지만 아예 모르는 것보다 조금이라도 아는 게 낫지 않은가! 그런 의미에서 내 주변의 모든 사람들이읽어보면 좋을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