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 이야기 1~22권 세트 - 전22권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 이야기
차용욱 외 지음 / 자음과모음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아이들에게 요즘 문해력이 있는지, 어느 정도인지가

중요한 단어로 뜨고 있는 것 같아요.

문해력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국어 뿐 아니라

모든 교과에서 힘들어 하는 것 같아요.

그렇다면, 초등수학에서 문해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어떤 도서가 아이에게 도움이 될까? 궁금하시죠?

저는 요즘 아이와 함께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 이야기를 읽으면 읽을 수록,

정말 이 책의 매력에 빠지고 있어요.

솔직히,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 이야기는 중등 이상의 아이들이

읽어야 이해가 되겠구나..생각하고 시작했던 도서거든요.

하지만, 우리집 초등 아이와 함께 읽으면 읽을 수록

아이가 학자들의 이야기부터 어떻게 이 이론이 나왔은지

배경으로 살펴보기 시작하니까..

수학 이론을 어렵게 받아들이는 것 같지 않더라구요.

이번에는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 이야기 중,

"로바체프스키가 들려주는 비유클리드 기하학 이야기"를 살펴보았습니다.

로바체프스키, 비유클리드, 기하학 이라는 단어만

들어도 헉! 하죠? ㅎㅎㅎ

우리집 아이도 솔직히 이 세 단어를 보고는

"엄마....이 단어 너무 어렵다.." 라고 말하더라구요.

ㅋㅋㅋㅋㅋ

"너~ 이 책 알잖아~ 어렵지 않을껄? 엄마랑 같이 하자!"

하면서 시작했답니다.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알기 위해서는

유클리드 기하학이 무엇인지부터 살펴봐야 한대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평행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본 다음,

비유클리드 기하학이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살펴보는 내용입니다.

초등에서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굳이 배워야할까요?

네~ 비유클리드 기하학이라는 단어로는 안나오지만,

초등에서는 원의 구성 요소, 내각의 크기, 여러 가지 사각형,

여러가지 입체 도형에서 비유클리드 기하학과 관련된

내용을 접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중등에서는 여러 도형의 성질부터 피타고라스의 정리,

그리고 고등에서 삼각함수, 이차곡석 등과 연계되는 부분이에요.

로바체프스키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평행성의 이론에

반박한 사람이에요.

2000여 년 간 절대 불변의 진리라고 여겨온 유클리드 기하학을

뒤집는 충격적인 사건을 만든 사람이 바로, 로바체프스키입니다.

사람들이 모두 '예'라고 말할 때, 혼자서 '아니오'라고 주장했던

용기가 가득한 사람이었던 것이지요.

기하학의 기원은 B.C. 2500년경 고대 이집트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집트인들은 나일 강을 중심으로 농사를 지으면서 문명을

발전시켰죠. 특히 홍수로 인한 강의 범람으로 농토의 경계선이

모두 지워졌기 때문에 해마다 농토를 다시 측정해서 나누어야 했는데.

바로 토지 측량 기술이 발전하게 된 것이

기하학의 기원입니다.

예를 들면 고대 이집트인들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의 비가

3:4:5 이면 직각삼각형이 된다는 사실을 오랜 경험으로

알고 있는데, 이것이 왜 그렇게 되는지 증명하는 데에는

관심이 없었대요.

그래서 이집트 기하학은 지나치게 경험적이로 실생활에 치우쳐있다고해서

학문으로서 기하학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웠대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평행성의 의미와 평행성의 여러 가지 특성때문에

비유클리드 기하학이 나온 배경이라고 해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는 직선 ㅣ과

그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점 P가 주어졌을 때,

점 P를 지나서 직선 l과 평행인 직선은 단 한개만 존재한다고 했어요.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이야기,

<로바체프스키가 들려주는 비유클리드 기하학 이야기>의

4교시가 참 재미있게 다가왔어요.

"두 점을 최단 거리로 잇는 선이 항상 직선은 아니다?"

의 질문이었어요.

보통, 우리는 두 점을 있는 선의 최단 거리를 직선으로 알고 있지 않나요?

하지만 로바체프스키는 곡면 위의 두 점을 생각하게 해 본 것이에요.

원의 였을때를 생각해보게 했고,

보통, 우리가 세계지도를 펼쳐보았을때,

우리나라 인천과 미국의 워싱턴을 잇는

최단거리는 직선으로만 보여지죠.

그래서 당연히 우리는 비행기를 타고 갈때는

이렇게 직선 거리로 가겠구나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비행기는 그렇게 가지 않는다는 것이죠.

로바체프스키는 오렌지와 실을 가지고 아이들에게 설명했습니다.

인천-워싱턴 간의 두 점간의 최단 거리를 만드는 것은

직선이 아니라, 인천에서 약간 위로 비스듬하게, 즉

북동쪽으로 선을 그어 워싱턴을 나타내는 점이 더 짧았던 것이죠.

이게 바로, 곡면의 측지선입니다.

이렇게, 대원, 곡면, 포물선 등의 용어들을

잘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어요.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 이야기,

<로바체프스키가 들려주는 비유클리드 기하학 이야기>를

읽으면서 우리집 초등은 이 책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느꼈는지가 궁금했어요.

그래서 우리집 아이에게, 이 책의 장점을 말해달라고

했어요~

절대! 엄마가 먼저 이책의 장점에 대해서 이야기해주지

않았답니다.

순수, 아이의 의견이에요.^^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 이야기가 좋은 점은요?

첫째, 학자들의 어린시절, 배경에 대해서 알고,

이론에 대한 배경지식부터 알고 가니까 어렵게만

생각했던 수학 이론이 무겁게 느껴지지 않았어요.

둘째, 단원마다 이리 배워야 할 학습 목표를 제시해주고,

용어를 알려줘서 이 부분이 도움이 많이 되었다고 합니다.

셋째, 단원을 마무리 할때마다 수업 정리를 통해서

다시 한번 수학 이론과 개념, 용어를 정리해줘서

확실히 "내꺼화"를 만들어줘서

이해도 잘되고, 정말 좋았다고 말해주었습니다.

수학 공식만 나열하고, 수학 이론만 무턱대로 알려주는 책 보다,

이렇게 초등수학부터 중등, 고등까지 연계가 되고,

주제별 뿐만 아니라, 학자들의 이야기부터 들으면서

초등수학을 접근하게 되니까

정말 큰 재산이 되는 것 같아요.

문해력~ 문해력을 어떻게 키울까?

고민되신다면, 수학 공식만 던져주는 도서가 아닌,

학자들의 입으로 전해듣고, 사고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 이야기를 적극 추천드리고 싶어요.

우리 아이 초등수학 문해력을 키우고 싶다면,

초등수학필독서인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 이야기!

꼭 만나보세요!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협찬받아 작성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