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으로 새기는 글자, 직지 - 제15회 눈높이아동문학상 장편 동화 부문 대상 수상작 문학의 즐거움 59
조경희 지음 / 개암나무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으로 새기는 글자 직지, 라는 제목을 보자,

내가 아는 그 금속 활자본의 직지인가? 싶어서

얼른 책을 펼쳐보았습니다.

맞더군요.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본인

'직지'의 탄생 이야기를 동화로 풀어 낸 이야기였어요.

 

현재 금속 활자본 '직지'는 세상에 단 한 권밖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대요. 하권마저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어서 우리나라에서도 '직지'의 원본을 볼 수는 없는 것이에요.

작가는 '직지'의 마지막 장에 있는

한 문장인...

'고려 우왕 3년(1377) 청주에 있는 흥덕사에서

석찬과 달잠이 만들고 묘덕이 시주하다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에 등재되는 결정적 역할을 함)'

라는 문장을 씨앗 삼아 이야기를 지은 것이라고 합니다.

 

문둥병으로 부모를 잃은 만복이, 만복이의 누나마저

문둥병에 걸려서 마을에서 쫓겨나야 해요.

누나의 머리카락은 자꾸 빠졌답니다.

만복이는 전대에 누나의 머리카락을 한 움쿰 모아서

돌돌말아 넣었어요.

점점 누나의 문둥병은 심해지고,

갈곳 없는 만복이와 누나는 절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곳에서 결국 누나는 세상을 떠나고,

만복이는 백운 스님으로부터

'달잠'이라는 법명으로 동자승이 되어요.

만복이는 자신의 머리카락도 전대에

보관하게 됩니다.

나중에 이 머리카락이 귀하게 쓰이는데요.

전대에 넣은 누나의 머리카락과 만복이의 머리카락이

이렇게 쓰일줄은 정말 몰랐어요.

사실, 늘 몸에 전대를 차고 다녔지만

만복이는 전대를 도둑맞게 되어요.

전대를 찾기 위해 쫓아가서 도착하게 된 곳은

앞이 안보이는 할아버지가 쇠를 녹이는 대장간이었어요.

만복이는 쇠를 녹여 글자를 만들 수 있을꺼라고

생각합니다. 그때부터 할아버지와 장쇠로 부터

쇠를 녹여 글자를 만드는 방법은 알게 되는데

결정적인게 부족했어요.

바로 마음이었던 거에요

쇠에는 마음과 맛이 있는 것이거든요.

글자는 마음으로 새겨야 하는 것이라는 깨달음과

글자를 완성하게 해준 것은

바로 누나와 만복이의 머리카락의 역할이더라구요.

누나와 만복이의 머리카락이 이렇게

등장해서 쓰이게 될줄을 정말 상상도 못했던 부분인데

놀라기도 하였습니다.

 

 

문둥병으로 부모를 잃고,

문둥병으로 누나를 잃고,

쇠로 글자를 만든다면 누야가 가지고 싶어하던

불경을 천 권이고 만 권이고 ...

찍어낼 수 있을꺼라는 믿음으로

쇠 글자를 완성하게 된 만복이의 삶이

너무 애잔하게 다가왔습니다.

우리 딸도, 만복이의 삶이 너무 불쌍하다고

말해주었습니다. 그리고 누나를 사랑하고

그리워하는 마음이 전해졌다고 하네요.

왜 그토록 만복이는 쇠글자를 만들고 싶어했던 것일까?

생각해보았어요.

영원히 변하지 않는 글자를 만들고 싶어했던 그 마음은

곧 더이상의 슬픔과 고통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처럼

들렸어요.

우리가 '직지'를 단순히 역사 책에서만

한번씩 읽고 넘어가면서 알게 되었을텐데...

이렇게 '직지'의 이야기가 새롭게 동화를 통해서

우리 아이들에게 들려 줄 수 있어서

참으로 좋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