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탕공장에 가지 마
손동우 글.그림 / 책과콩나무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록달록 벌꿀들

눈은 롤리팝 사탕처럼 생겼어요.

사탕에 빠진 느낌이 나지요?

푸른 들판, 고요하고 평온한 느낌이 듭니다.

붕붕이는 항상 목에 빨간 꽃송이를

두르고 다니는 멋쟁이 꿀벌이야.

(표지에서도 붕붕이를 찾아볼까요?)

붕붕이는 춤추는 걸 좋아했어

이쪽저쪽 엉덩이를 흔들흔들, 실룩실룩~

이렇게 춤으로 꿀을 잔뜩 따올 수 있는

꽃이 어디 있는지 알려주지요.

붕붕이가 춤을 출 때마다

행복한 이유가 있었네요!

그러던 어느날,

꿀벌들이 떼를 지어 사탕공장으로 날아가는거야.

알록달록 꽃보다 화려하고,

꿀보다 새콤달콤한 맛.

사탕공장의 사탕에 빠진 꿀벌들!

꿀벌들도 점점 오동통 해지고,

사탕처럼 알록달록, 눈도 롤리팝 사탕처럼

꿀벌이 사탕에 빠졌어!

사탕만 생각나는거야!

사탕에 중독됐어!

나무도 사탕을 하나씩 먹어요.

나무야! 너도 사탕에 빠진거야?

사탕 없이 못 사는 거야?

하고 말했더니,

아니야! 나는 사탕말고도 다른 것도 먹어.

사탕은 며칠 쉬면 되는거지?


사탕을 좋아하지만, 자주 먹으면 이 섞어요~

라고 인식하고 있는 나무에요.

사탕공장이 문을 닫게된 후,

꿀벌들에게 이상한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나무의 눈으로 보면

그냥 사탕을 먹지 못해 배가 고픈 꿀벌들.

다른 것 보다 사탕만 찾는 꿀벌들.

엄마의 눈으로 보면

쾡 해보이고, 의욕이 없이

축쳐져 있는 꿀벌들 입니다.

중독이라는 것이 참 무서운 것 같아요.

꿀벌들은 다시 일상 생활로 돌아갈 수 있을지.

붕붕이는 어떤 묘책을 생각해 낼까요?

꿀벌들의 이야기.

춤추는 꿀벌들을 다시 만나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제 어디서나 여행하며 종이접기 : 유럽편
타카하시 나나 지음 / 종이나라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하고 싶은 마음이 물씬풍기는 종이접기

유럽 여러 나라의 유명한 건축물, 특산물,

자연, 민속품, 꽃이나 동물, 문화적인 것을

모티브한 귀여운 작품이 53가지가 수록되었어요.

우리나라의 국화 '무궁화'처럼

그 나라를 상징하는 국화를

접는 방법과 유래를 확인 할 수 있어요.


알프스의 대자연 : 스위스

스위스는 알프스의 산악지대로 뒤덮인 자연이

풍요로운 나라입니다.

애니메이션 '알프스 소녀 하이디' 는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어요.

전통적인 제조법이 전해져 내려오는

초콜릿도 유명합니다.




초콜릿은 색종이를 1/2로 잘라서 시작합니다.

1.5 : 3: 3 을 가늠할 수가 없어서

엄마가 먼저 접어주었어요.

그 이후에는 나무가 척척 접어요.


마지막 꽂는 과정은 힘들어해서

엄마가 마무리 해줍니다.

나무의 쪼코쪼코♡ 학알 접는 거랑 비슷해요



노래로도 유명한 에델바이스는

스위스 국화입니다. 하얀 별처럼

가련한 꽃으로 해발 고도가

높은 알프스 산에 많이 피어 납니다.

(도화지로 만들어 볼껄 그랬나봅니다.)

모서리를 접어서 중심을 세우고

당기다가 찟어졌어요ㅠ

다음에는 조금 살살 해야겠어요.


종이접기를 통해 그 나라의 문화를 조금 알게 되면서

유럽에 있는 나라의 책들을 찾아보게 되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씽씽레츠고 늦지 않게 도와줘! 시계와 시간 - 1분이면 수학과 친해지는 만화 씽씽레츠고 시리즈 1
이젠수학연구소.한날 지음 / 이젠교육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일, 채소 친구인 캐릭터들이 너무 귀엽습니다.

<시계와 시간> 에 대한 

수학과 친해지는 만화책답게 

기차가 도착하는 시간을 예상하게 합니다.


2학년 2학기 시각과 시간

하루의 시간부터 헤매고 있는 

나무를 위해 함께 읽어보려고 해요!


일단 펴 봅니다!

만화라서 빠져들기 시작합니다.

●무엇을 배울까요?

우리 주변의 여러가지 시계를 관찰 하면서

시계의 공통점을 알 수 있게 합니다

●언제 배울까요?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시계 보기 단원에서 배워요.

나무는 2학년이 되었으니 배운 내용이겠네요.


<시계의 종류>

엄마, 우리집에 있는 디지털 시계야!

디지털 시계는 숫자를 읽으면 

시간을 바로 알 수 있지만, 

아날로그 시계는 시침과 분침 그리고 초침을 

읽을 줄 알아야겠지요.


<하루의 시간>

전날 밤 12시부터 낮12시까지를 오전,

낮 12시부터 밤 12시까지를 오후라고 합니다


나무랑 문제를 풀다보면 

오전과 오후라는 단어를 헷갈려해요.


아침에 일어나서 학교를 가고,

1~3교시 하고 점심 먹을때까지 오전!

점심 먹고, 하교 해서 태권도 학원 갔다가

저녁 먹고 씻고 자면 오후!


이렇게 설명은 해주지만

막상 문제로 들어가면 다르더라구요.


생활 계획표를 만들어 보는 이유가 있네요!

나무랑 함께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낮과 밤을 구분하고,

일어나는 시간 오전 7시부터 시작해서

생활계획표를 만들어 봅니다.

도서관 갔다가 반가운 책들을 만났어요.

엄마, 이거 집에 있는거야!

<시계와 시간>책을 만나고 있는 중이라서

익숙해지면 <분수와 소수>를 만나볼 예정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일본에 살아요 지구별 친구들 1
송하영 지음, 권현주.한은자 그림 / 내일도맑음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벚꽃이 만발하는 시즌이 돌아오고 있지요.

아직 빨갛고 작은 봉우리 정도지만

다음주쯤이면 만개하겠네요!


안녕?

나는 일본의 도쿄에 살고 있는 류우야.

일본은 한국과 같은 아시아에 있는 나라야.

우리 엄마는 한국 사람인데

일본 사람인 아빠를 만나 결혼을 했어.


올 해 1학년이 되는 동생은

란도셀을 매고 초등학교로 입학합니다.

한국은 3월이지만,

일본은 벚꽃이 흩날리는 4월에 입학해요.


튼튼한 만큼 무거운 란도셀.

가볍게 만들 수 있으면 좋을텐데

라는 생각을 합니다.


류우 엄마 역시 키가 안 클 것같아

학교 앞까지 가방을 들어줍니다.


일본은 지진이나 태풍 같은 자연재해가 많아

한 달에 두번씩 학교에서 지진 대피 훈련과

화재 대피 훈련을 합니다.


화재 대피 훈련을 할 때에는 방재 모자를 쓰고서 

젖은 수건으로 입을 가리고 몸을 낮춘 다음

줄을 서서 운동장으로 대피하는 연습을 해.


나무도 학교에서 화재 대피 훈련을 하지만

방재모자는 처음 들어봅니다.

아이들 머리를 보호하기에 좋은 듯해요.


일 년에 두 번은 부모님이 선생님에게 

'00년도 재해시 아동 인계 카드'를

전달해야 하교 할 수 있어요.


아이들뿐만아니라 학부모님들도

재난 대피 훈련을 함께 하니 좋은 것 같네요.



일본하면 온천이지요.

수건을 켭켭이 접어서 머리 위에 올려요.


어디서든 온천에서 양머리 하는 분들은...

한국인입니다.


산속에 있는 노천탕은 

조용히 경치를 즐기기엔 그만이에요.


가깝고도 먼나라

비슷하면서도 다른 나라

주인공 류우와 또래인 나무가

일본 문화에 대해 이해하기 좋은 

지구별 친구들 01. 일본편 이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빨리 셀 수 있다고? - 덧셈과 곱셈 후루룩수학 4
윤병무 지음, 이철형 그림 / 국수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빨간색 덧셈, 파란색 곱셈

눈 모양도 덧셈과 곱셈이지요.

다음 편은 뺄셈과 나눗셈일까요?


덧셈과 곱셈이 함께 하는

양치기 소년의 이야기로 들어가 봅니다.


염소들과 양들이 푸른 초원에서

한가로이 풀을 뜯어 먹습니다.

염소들과 양들이 몇 마리 있는지 알고 싶었지요.


염소 한 마리당 작은 돌맹이 하나,

양 한 마리장 큰 돌맹이 하나.

한마리당 하나씩 짝을 지어 나열해봅니다.


작은 돌은 스물여섯 개, 큰돌은 서른세 개.

덧셈을 알고 있는 나무는

26+ 33 = 59 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양치기 소년은 어떻게 했을까요?


하나, 둘, 셋, 넷, ..., 쉰일곱, 쉰여덟, 쉰아홉!!!

돌맹이를 하나씩 전부 세었어요.

와우~ 집중력이 대단한 것이겠지요?


덧셈이 양치기 소년에게 덧셈식을 알려줍니다

작은 돌 아래(26) , 큰돌 아래 (33)

26과 33 사이에 +를 채우고

 33 오른쪽에 =을 씁니다.

그리고 = 오른쪽에 59를 써요.


양치기 소년은 이제 손가락을 이용해서

올림 없는 덧셈을 할 수 있게 되었어요!


집에 돌아온 소년은 눈에 띄이는 물건마다

손가락을 꼽아 덧셈을 합니다.

배운 내용이 있다면 복습을 해야겠지요!

수학은 언제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이번엔 소년은 달걀들을 시장에 나가 팔거에요.

꾸러미에 5개식 담았더니,

모두 아홉 줄이였어!


소년은 이번에도 덧셈을 사용해봅니다.

소년의 의지는 대단해요.

5를 9번 더해서 45를 알아냅니다.

그때 곱셈이 나타났어요!

곱셈은 어떤 식을 알려줄까요?

덧셈보다 더 편리한 셈법!

모두 알고 있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