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가림이 무기다 - 소리 없이 강한 사람들
다카시마 미사토 지음, 정혜지 옮김 / 흐름출판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낯가림이 무기다]서평

지은이 : 다카시마 미사토

옮긴이 : 정혜지

출판사 : 흐름출판

무려 90퍼센트에 가까운 사람들이 낯가림을 자각하고 있다는 마케팅 데이타가 있다.

사실 낯가림은 서투른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다.

낯을 가리는 사람은 동물이라면 본능적으로 가지고 있는 경계심이 보통 수준보다 강하기 때문에, 잘 모르는 상대에게 무모하게 접근하지 않는 신중함이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낯을 가리는 사람은 '타인의 마음을 거리낌 없이 마구잡이로 휘젓지 않는 배려가 있는 사람'이기도 하다.

유사 낯가림쟁이는 자신의 기분을 우선시하고, 천성 낯가람쟁이는 상대의 기분을 우선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낯을 가린다고 해서 언제까지나 남이 말하는 대로만 당하고 산다면 그 앞날은 스트레스로 가득 찰뿐, 행복을 손에 넣는 일은 절대로 없을 것이다.

진정 행복해지고 싶다고 원한다면,대를 무는 대신에 상대의 마음을 읽고 그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기술을 배울 필요가 있다.

낯을 가리는 사람이 살아가기 힘든 이 세상을 잘 헤쳐 나가기 위한 해답도 틀림없이 그것에 있다.

인간 관찰력을 키우고 싶다고 생각한다면, 전철 안에서도, 카페에서도, 사람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라도 훈련을 할수있다.

훈련시 포인트는 두가지.

첫번째는 관찰하는 상대에 대해 관심과 흥미를 갖는 것이다.

두번째는 상대에게 관찰하고 있다는 것을 들키지 않는 것이다.

상대에 대한 공격이 아니라, 내 자신을 지키기 위한 수단 이라는 점이다.

타인을 잘 이해하기 위하여 관찰하는 것은, 상대에 대한 배려이면서 불필요한 다툼을 피하고 평화롭게 지내기 위한 지혜이다.

낯가림쟁이와는 정반대로 말하는게 정말 즐겁고 가히 대화의 신으로 통하는 '슈퍼 커뮤니케이터'이다.

타인을 관찰하고 분위기를 파악해가며 대화를 나누는 것을 즐기기 떄문에 그들은 낯가리는 사람에게 있어서 굉장히 든든한 존재이다.

공적이든 사적이든 어쩔수없이 얼굴을 비춰야만 하는 경우는 반경 1미터 법칙을 쓰면된다.

슈퍼 커뮤니케이터를 대화의 중심에 두고 항상 그 반경 1미터 이내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다.

낯을 가리는 사람에게 있어서 이 반경 1미터 권내는 말하자면 '스트레스 제로 청정 지대'이다.

이 구역에 있으면 누군가와 이야기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부담감에서도, 또 말을 잘 이어나갈 수 없다는 콤플렉스에서도 벗어나 편안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세월이 흐를수록 말을 아껴야한다는것은 명확한 사실인듯하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