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의 종말 - KBS스페셜 <암의 종말> 다큐멘터리 여정에서 밝혀낸 암에 관한 새로운 고찰
이재혁.KBS 스페셜 제작팀 지음, 황태호 감수 / 청림Life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암의종말]서평

지은이 : 이재혁, KBS스페셜 제작팀

감수자 : 황태호

출판사 : 청림Life

암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여러입장의 견해로 써두어 이해도가 쉬웠다

암에 대한책은 읽고나면 결론이 무엇인지를 알수가 없을때가 종종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병원을 신뢰를 하지 않는 편이다.

암에 걸려서 병원서 치료 받다가 중환자실에서 생을 마감하느니 그냥 처방약만 받아 물좋고 공기좋은곳에서 먹고싶은거 조절하면서 먹고 일상생활을 하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이재혁PD는 KBS파노라마 '암의 천적-킬러 바이러스'방영을 위해 1년동안 과학자, 종양전문가, 정부관계자, 임상연구 윤리위원의 입장에서 조사해서 더 신뢰가 갈것이다.

그리고 이 책은 그후에도 몇년동안 전세계를 돌면서 모아 놓은 자료들로 낸 책이다.

암을 바라보는 시각ㄱ은 편협되지 않고 어느 누구보다 공감각적이라할수있다.

때로는 환자의 입장에서 때로는 의사입장에서, 과학자의 입장에서, 신약규제 관련 정부관료의 입장에서, 신약 개발하는 산업계의 입장에서 암을 바라보고 문제와 해결점을 제시한 책이다.

암은 바이러스처럼 외부에서 온 침입자가 아니다.

보내는 인체를 구성하는 정상세포였으나 세푸 분열 과정에서의 변이로 인해 암세포로 변한것이다.

이러한 변이는 하루아침에 일어나지 않는다.

미국 암학회는 암을 세포 분열과정에서 죽지 않고 이상 증식하는 세포라고 정의한다.

끝없이 증식해서 피부가 혹처럼 계속 커지는과 같다고 말할수있다.

암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암은 정말 '예고 없이' 찾아 온다.

예고는 바로 통증을 말한다.

암세포는 온몸의 신경세포를 건드리지 않고 잠복하고 있다가 순식간에 정체를 드러낸다.

암으로 인해 통증을 느낄 단계가 되면 의사들은 이미 늦었다고 한다.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 교수이며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장인 황태호 교수가 이책의 감수자이다.

황태호 교수의 연구팀은 수십개의 바이러스 후보를 테스트했고, 암세포를 죽이는 능력이 가장 뛰어났던 백시아나 바이러스를 선택했다.

천연두는 인류에게 가장 큰 비극을 안겨준 공포의 질환이었지만 1789년에 에드워드 제너에 의해 처음 예방접종이 시행된 이후, 세계보전기구는 1980년 천연두의 종결을 선언하였다.

오랜 세월 인류에게 가장 공포의 질환이었던 천연두의 박멸에 사용되었던 우두바이러스를 실험실에서 유전자 변형을 시켜 'JX-594'가 탄생되었다.

천연두를 인류로부터 구제한 우두바이러스처럼 'JX-594'는 인류에게 가장 큰 공포의 질환인 암을 치료할수있는 새로운 함암치료제 물질이 될수있을것이라한다.

'JX-594'는 면역체계가 작동하기 전에 암세포 속으로 숨어 들어가 증식한다.

바이러스가 정상세포에 침입하면 세포는 이를 알리는 경보를 발동하고, 우리 몸은 침입자를 물리치기 위해 정상세포를 죽인다.

이 역할을 하는 것이 인테페론이라는 물질이다.

바이러스는 정상세포에 침투하게 되면 인테페론 떄문에 숙주가 더 이상 자랄수가 없다.

임상실험이 1상부터해서 지금은 3상 연구단계이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