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성 이론이란 무엇인가?
제프리 베네트 지음, 이유경 옮김 / 처음북스 / 201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상대성이론이란 무엇인가?]서평

 

지은이 : 제프리 베네트

옮긴이 : 이유경

출판사 : 처음북스

 

저자는 목표를 자신이 이해했고, 자신의 강좌와 교재를 통해 학생들과 공유했던 것처럼 독자들도 상대성을 이해하게 돕고 싶은 목적으로 이책을 썻다고한다.

독자들이 상대성을 생각보다 훨씬 더 쉽고 훨씬 더 놀라운 주제로 느끼길바랬다.

또 우리자신을 광대한 우주 속의 인간으로 바라보는 방식에 상대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저저의 생각에 동의하기를 바랬다.

허나 정말 쉽지 읽어나가는 책은 아닌듯하다.

대신 관심이 전혀 없던 분야라 새로운 부분을 많이 알게되었다

 

이책에서 블랙홀이란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중력이라고 여기는 것은 사실 시공간의 휘어짐에서 오는 것이고, 이 휘어짐은 질량을 가진 물체에 의해 만들어진다.

블랙홀은 크기가 너무나 많이 수축하여 관찰 가능한 우주에 구멍을 낼 정도의 질량을 가진다.

어떤 물체가 블랙홀에 빠지면 바깥 우주는 그 물체와 전혀 접촉할 수 없다.

 

블랙홀의 중력은 동일한 질량을 가진 다른 모든 물체의 중력과 다르지 않다. 단, 불랙홀에 아주 가까이 다가갈 때 중력은 훨씬 더 극단적이 된다. 멀리떨어져 있을 때는, 다른 모든 질량이 큰물체 주의에서 그렇듯이 블랙홀 주위에서도 궤도를 돈다. 빨아들이지는 않는다.

 

블랙홀에 우연히 빠지기는 힘들다. 블랙홀은 크기가 아주 작기 때문에 멀리서 와서 빠지면 거의 완벽하게 겨냥을 해야만한다.

블랙홀에 쉽고 자연스럽게 빠지는 유일한 것은 블랙홀 주위의 가스인데, 블랙홀 주위를 빙빙 도는 가스는 마찰력을 일으키고 이 마찰력은 가스 입자의 궤도를 점점 붕괴시켜 입자를 블랙홀에 빠지게 한다.

어떤것이 블랙홀로 떨어질 때 바깥에서 지켜보면 물체가 사건으 지평선에 다가가면서 시간이 멈추는 것을 볼수있다.

동시에 물체의 빛이 무한히 붉은 색으로 변하면서 시야에서 사라지는 것을 볼 것읻.

빛의 적색이동은 블랙홀로 떨어지는 물질이 실제로 비교적 빨리 시야에서 사라지는 이유이고, 그래서 그 물질이 사건의 지평선을 넘는 것을 보지 못할 것이다

 

여유를 가지고 두세번정도 더 읽어보아야할 책인듯하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