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의 힘 - 원하는 것을 이끌어 내는 탁월한 한마디
제임스 파일 & 메리앤 커린치 지음, 권오열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질문의 힘]서평

 

지은이 : 제임스 파일, 메리앤 커린치

옮긴이 : 권오열

출판사 : 비즈니스북스

 

질문법에는  누군가가 마음을 열고 진실을 말하게 하는방법이 접근하는법이고, 그들의 정보를 얻어내는 방법을 질문하는 법이라고 할수있다.

질문을 조작하거나 꾸며 낼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논리적인 사고, 명확한 계획, 무엇과 왜에 대한 아주 많은 호기심이 필요할 뿐이다.

이런 호기심이 없다면 심문은 그저 기계적으로 확인사항을 점검하는 수준이나, 단순한 문답 계임으로 전략하고 만다.

 

효과적인 질문의 특징은 정확성과 효율성이다. 좋은 질문은 항상 의문사로 시작해야한다.

의문사를 적절히 사용한다는 것은 질문자가 편견 없는 호기심을 보여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의문사를 사용하지 않는 형태의 질문이나 의문사를 포함하더라도 특정한 답변을 요구하는 질문은 질문자의 편견으로 오염된 호기심과 심지어는 어떤 의도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짧고 단순한 질문이 가장 명확한 답을 끌어내는 경향이 있다. 질문을 짧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역시 '한 번에 하나씩만 물어보라.'라는 규칙을 따르는 것이다.

 

질문도 중요하지만 듣는것도 중요하다.

잘 듣지 못하면 질문이 좋아봐야 아무 소용이 없다. 따라서 묻기와 듣기는 같은 무게를 지닌다.

 인간에게는 귀가 둘이고 입이 하나이다. 최고의 질문자는 바로 그 비율로 귀와 입을 사용한다.

질문은 질문에 답하는 사람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의미이다.

대화에서는 질문자가 주인공이 아니다. 대화중에 주로 말을 많이 하는 쪽이 질문자라면, 그는 제대로 질문하는 것이 아니다.

 

후속질문을 할때는 직선으로 나가는것이 좋다.

정보의 틈새에 초점을 맞추어야한다. 당신의 정보 요구사항으로 돌아가 아직 얻지 못한 것이 무엇인지 확인해보자. 그리고 당신에게는 누가, 무엇을, 언제,어디서, 어떻게, 왜라는 질문이 필요한가, 아니면 그저 대화만 하고 중간 중간 "정말?" 또는 "뭐라고?"라고 덧붙이면 되는가? 당신이 노련하다면 봅아내기 기법을 통해 대화를 하면서 당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어내고, 동시에 세부 사항까지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