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 뇌과학과 임상심리학이 부서진 마음에게 전하는 말
허지원 지음 / 홍익 / 201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지은이 : 허지원

출판사 : 홍익출판사


자존감을 낮게 만드는 이유들은 참으로 다양하다.

무엇보다 빈번히 언급되는 것으로는 아이를 양육하는 사람의 방임과 무관심, 그리고 학대가 있다.

우리가 어렸을 떄 부모님을 비롯한 우리의 주 양육자들의 특징은 주 양육자가 짜증에 치뱓혀 감정적으로 대할 때, 우리는 영문도 모른 채 그 부정적인 감정들을 고스란히 받아들여야 했다.

그들이 본인 삶의 무게에 짓눌려 우울한 삶을 이어갈 때도 우리는 방치된 채 홀로 시간을 견뎌야 했다.

그러나 나를 출산했을 당시 부모님의 연령을 생각해 보면 그들이 얼마나 어렷고, 얼마나 미숙하게 우리를 통제하려 했는지 그 전체적인부분을 작게나마 이해할수있다.


안탑깝게도 우리를 주로 양육했던 세대는 따뜻한 애정을 경험하거나 표현할 기회를 박탈당했거나 어린 나이에 사회적 압력으로 결혼을 결정하여 자기 앞의 생조차 어쩌지 못하고 갈팡질팡 했을지도 모른다.

주 양육자의 건강하지 못한 태도에 만성적으로 노출된 사람들은 자기파괴적인 사고와 감정을 불필요하게 익히게 되었다. 이는 단순하게 주 양육자의 사정을 살펴 너그러이 용서하자는 식의 감성적인 말을 하려는게 아니다.

다만 우리는 거리를 두고 그때의 상황을 건조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그때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때 비로서 엉망으로 엉키고 오염된 감정을 조금이나마 처리할 수 있기때문이다. 이점은 자존감을 높일려면 크게 차지 하는부분인듯하다. 나의 부모님을 바라볼때도 그들은 그 나이에 알맞게, 형편없이 미숙했을것이다.


자기 자신에 만족하지 못하는 완벽주의는 여섯차원으로 분류된다.

1. 실수에 대한 염려 : 그러나 세상사람들은 당신의 실수나 실패에 그리 관심이 없다.

2. 개인적 기준 : 그러나 사람들은 당신이 정한 셀프-기준에 전혀 관심 없다. 당신이 정한 목표를 달성하든 달성하지 못하든 스스로 높게 평가하든 낮게 평가하든 사람들은 원래 관심이 없다.

3. 부모의 기대 : 주 양육자가 당신에게 높은 목표와 의무를 부여했어도 부응하려는 노력할 필요없다 당신의 인생이니깐.

4. 부모의 비판 : 보통 직장에서 후배나 동료가 미운 경우는 나와 일처리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고, 가정에서 자녀가 몹시 미운 경우는 대부분 자신과 너무 닮아서일 경우가 많다. 바로 이것이 미성숙한 부모들이 자녀를 혹독하게 비난하는 이유

5. 행위에 대한 의심 : 우리가 살아 있는 동안 수많은 걱정들은 우리 머리속을 떠나지 않는다. 말로만 시험공부를 할뿐 실제적인 노력을 하지 않는 우리의 과거 모습들이다.

6. 조직화 : 대충 갈 수 있으면 그냥 대충 가는게 정답이다.


스스로가 스스로를 계속해서 알아주록 하자.

너 잘하고있지, 잘해 왔지.

다른 건 다 몰라도,

그건 내가 알지.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