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 재테크를 부탁해 - 1년 후, 5년 후 점점 더 나아질
이지영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집 재테크를 부탁해


지은이 : 이지영

출판사 : 한국경제신문


우리에게 절약이란 늘 마음 한구석에 불편하게 자리잡고 있는 숙제다. 몇달은 잘되다가도 어느새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 결국 포기하기를 반복한다. 인터넷을보면 절약의 신, 짠돌이 짠순이들의 생활이 소개되곤 한다. 한치의 낭비도 허용하지 않는 이들의 생활은 존경과 감탄을 자아낸다. 외식을 하지 않고, 집에 불필요한 잡동사니는 찾아 볼수없으며, 수십개의 통장을 가지고 돈관리를 하는 등 엄청난 노력을 통해 상당한 자산을 모은 사람들을 보면 대단하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요즘에는 미니멀 라이프를 전파하는 책들이 많다. 심플한 삶이라는 이상과 소비의 유혹에 넘어가기 쉬운 현실. 이둘의 괴리는 우리를 피로하게 한다. 소박한 삶이 좋아 보이기도 하지만 할인판매하는 물건에서 시선을 뗄 수가 없다.

이럴 때 우리는 소비를 합리화하는 근거를 만들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은 올해부터는 절약해야지, 다음은 소비 유혹에 굴복하고 결론을 '역시 나는 안되'로 되버리기를 반복하고있다.

자제력을 쓰면 쓸수록 단련되는 근육 같은것이 아니라 오히려 참고 절제할수록 우리 뇌는 피로감을 느끼면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분비한다. 이는 만성두통, 불면증, 면역저하 등 유발하는 동시에 자제력을 약화시키고 충동적 행동을 야기한다.

 

가정경제에서 숫자를 파악할때 가장먼저 해야할 일은 비용파악이다. 얼마를 가져야 삶을 유지할 수 있는지 모르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지출을 줄일 가능성은 있는지, 불필요한데 무의식적으로 하고 있는 지출은 없는지도 알수있다. 왜 나는 돈이 모이질 않는지 의아하다면 반드시 비용을 파악해야한다. 비용에는 고정비용과 변동비용이 있다. 고정비용은 지출금액이 이미 정해져 있는것으로 월세, 대출이자, 통신비, 공과금, 교육비, 보험료, 용돈 등이고, 변동비용은 금액이 정해져 있지 않는 지출로 식비, 문화생활, 의류비 등이 있다. 가정경제에서 고정비용의 비중은 상당히 커서 60-80%까지 차지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내손으로 직접 지출하는 돈은 대개 변동비용이다. 때문에 우리가 돈을 적게 쓴다고 착각한다. 하지만 정작 따져바야할 것은 알아서 빠져나가는 고정비용이다.


모든 지출은 욕구의 반영이다. 쓸데없이 돈을 길바닥에 버리지 않는 이상 모든 지출은 욕구과 욕망을 드러낸다. 기부하는 돈조차 타인을 돕고 싶은 욕구의 발현이다. 이를 부정하는건 자신을 부정하는 것이다. 돈쓰는 행위를 순간의 착각이나 실수, 잘못된 행동으로 여기는건 자신을 오류와 실수투성이 존재로 여기는 것과 다르지 않다. 실수나 착각이 아니라 원래 내 마음이 그렇게 돈을 쓰고 싶어 했던 것이다. 모든 지출을 거슬러 올라가면 욕구를 만날 수 있다. 사람 노릇을 해야한다는 욕구, 문화생활을 누리고 싶은 욕구, 타인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욕구가 지출에 모두 녹아있다.

욕구를 채울수 있는 지출보다는 다양한 대안을 고민해보자


지출을 줄일때 지켜야할 원칙을 소개한다.

1. 수입의 10%는 무조건 저축하자.

2. 고정 지출 비율을 낮추는 것이다.

3. 예산을 세우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