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뇌를 바꾼 공학 공학을 바꾼 뇌
임창환 지음 / Mid(엠아이디) / 2015년 12월
평점 :
판매중지


뇌 과학 연구에 대한 책이다.

미래의 모습을 예상하는 것은 재미있는 일이다.

그리고 과거에 그려보았던 미래의 상상을 현재와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다.

어떤 것은 놀랍도록 들어맞는 예상도 있지만 어떤 것들은 터무니 없는 일인 것들도 있다.

미래를 그린 SF 영화를 보면 그러한 상상들을 구체적으로 엿볼 수가 있다.

책에도 많은 영화가 나온다. 

메트릭스, 써로게이트, 아바타. 퍼시픽 림, 로보캅, 이터널 선샤인, 트랜센던스, 잠수종과 나비, 아이 로봇, 그녀, 이미테이션 게임, 채피, 아이언맨, 스타워즈, 인스텔라, 전격Z작전, 2020 우주의 원더키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그러나 현재의 공상과학 영화의 현실 수준은 영화의 어느 것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영상통화처럼 어떤 것은 당연하듯 과거에 상상한 것들이 현실이 되어 있고 

로봇비서나 우주여행처럼 어떤 것들은 언제 현실이 될지 요원하기만 하다.

진화나 적응의 눈으로 보면 새로운 기술이 천재 발명가에 의해서 갑자기 나타나지 않는다.

화상 전화가 나타나려면 그 전에 개인 휴대폰의 대중화 라든지 

저렴한 네트워크 비용 같은 것들이 먼저 이루어 진 다음에 생각해야 한다.

점진적인 문제들의 해결과 충족으로 진화한 것만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

[매트릭스] 같은 영화도 미래를 상상하는 것에 대하여 많은 힌트를 주지만 

뇌 과학자들의 궁극적인 이상과 목표를 보여준 것은 [아바타]일것이다.

영화 [아바타]는 뇌를 읽어 들여 뇌가 전달하는 명령을 아바타에게 보내서 자신의 몸처럼 사용을 한다.

그 반대로 아바타가 느끼는 감각이나 체험을 뇌에 전달하기도 한다. 

이것이 실현 되려면 먼저 신체적인 장애를 대실할 인공신체의 제어 기술이 일반화 되어야 할것이다.

뇌가 보내는 명령신호를 읽어 들이고 

또 반대로 뇌에게 감각이나 느낌을 전달하는 것은 

신체장애 같은 문제를 해결 하려는 인간의 노력이기 때문에 

언젠가 실현 가능한 미래라고 볼 수 있다.

 

다른 한 분야는 윤리적인 문제가 있다.

책에서는 최초로 이 문제를 제시한 영화 [아이, 로봇]을 

예로 들었지만 내가 볼 때는 스필버그 감독의 [에이아이 ; AI]가 더 적절한 영화 같다.

작가가 AI 영화를 왜 빠트렸는지 모르겠지만 

AI를 보면 윤리문제에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인간의 형상을 닮았다는 것과 

인간의 생각까지 닮았다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어 보인다.

지금 당장 공상과학 영화들에 나타나는 로봇들과 생활한다고 가정 해 보면 

많은 사람들이 사람의 모습과 생각을 닮은 이 존재들에 대하여 큰 혼란을 겪을 것 같아 보인다. 

인간이 개인로봇들을 사용 할 날이 올지는 모르겠지만 

윤리적이고 정신적인 문제들이 중간에 점검되고 해결되어 야 한다.

 

뇌 과학자인 작가를 통해서 인간의 뇌 과학 연구에 대한 현주소를 재미있게 들을 수 있는 책이다.

그리고 여러 난제들을 어떻게 극복하고 있으며 어떤 도전들이 있는지도 알게 된다.

뇌 과학자답게 체계적으로 순서대로 차근차근 설명을 듣는 구성이다.

마지막 장은 미래에 대한 상상을 할 수 있는 안내도 들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